2025/05 214

2-3. 급수설비 설계의 순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급수설비 설계는 건물의 용도, 규모, 사용 인구, 필요한 수량 및 압력 등을 고려하여 위생적이고 편리하며 경제적인 급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일반적인 급수설비 설계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계획 단계 (Planning Phase)1.1 건축 개요 파악 및 요구 조건 분석:건축 도면 검토: 평면도, 단면도, 입면도 등을 확인하여 급수 대상 공간, 기구 배치, 배관 경로 등을 파악합니다.건물 용도 및 규모 확인: 주거 시설, 업무 시설, 상업 시설 등 건물의 용도와 연면적, 층수 등을 파악합니다.사용 인구 및 급수량 산정 기준 확인: 예상 사용 인구, 급수 기구 수량 및 종류 등을 파악하여 급수량 산정 기준을 설정합니다. 관련 법규 및 기준 (건축법, 위생 설비 기준 등)을 확인합니다..

2-2. 제로에너지건축물(ZEB, Zero Energy Building)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우리나라 정부의 활성화 방안 2) 제로에너지건축물 확산에 대한 장애요소

제로에너지건축물(ZEB, Zero Energy Building)은 건축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의 총량과 건축물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에너지의 총량이 균형을 이루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 건축물을 의미합니다. 이는 고성능 단열, 고효율 설비 등을 통해 에너지 소비를 극단적으로 줄이고, 태양광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설치하여 필요한 에너지를 자체적으로 생산함으로써 달성됩니다.1) 우리나라 정부의 활성화 방안우리나라 정부는 기후변화 대응 및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제로에너지건축물(ZEB) 활성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주요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ZEB 의무화 단계적 확대:공공 부문 선도: 공공기관 건축물을 대상으로 ZEB 인증 취득을 단계적으로 의무화하여 시장을 견인하고 기..

2-1. 열회수형 환기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구성요소2) 환기필터의 종류와 특성

열회수형 환기장치(Heat Recovery Ventilation, HRV)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동시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때, 배출되는 공기의 열에너지를 회수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예열하거나 예냉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환기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1) 구성요소열회수형 환기장치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외함 (Casing): 장치 내부 구성 요소를 보호하고 외부 환경과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단열 성능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송풍기 (Fan):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팬(Exhaust Fan)과 외부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 팬(Supply F..

1-13.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과 관련하여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중대산업재해 정의2) 사업주와 경영책임자등의 안전 및 보건 확보의무 4가지

1) 중대산업재해 정의「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하 중대재해처벌법) 제2조 제1호에서 정의하는 중대산업재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산업재해를 말합니다.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재해동일한 사고로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2명 이상 발생한 재해동일한 유해요인으로 급성중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업성 질병자가 1년 이내에 3명 이상 발생한 재해핵심 요약:중대산업재해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 중 사망, 심각한 부상, 다수의 직업성 질병 발생이라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 재해를 의미합니다. 이는 사업주와 경영책임자등에게 안전 및 보건 확보 의무를 강화하고, 이를 위반하여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한 경우 형사 처벌을 부과하는 근거가 됩니다.2) 사업주와 경영책임자등의 안전 및 보..

1-12. 「에너지이용 합리화법」에서 정하는 다음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에너지사용계획 제출 대상 시설규모 2) 에너지 진단 주기

1) 에너지사용계획 제출 대상 시설규모「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제10조 및 동법 시행령 제20조에 따라 에너지사용계획을 수립하여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제출해야 하는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공공사업주관자가 시행하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 또는 시설을 설치하려는 경우:연간 2천5백 티오이(TOE, 석유환산톤) 이상의 연료 및 열을 사용하는 시설연간 1천만 킬로와트시(kWh)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는 시설민간사업주관자가 시행하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 또는 시설을 설치하려는 경우:연간 5천 티오이(TOE) 이상의 연료 및 열을 사용하는 시설연간 2천만 킬로와트시(kWh)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는 시설추가적으로, 다음의 개발사업도 에너지사용계획 제출 대상에 포함됩니다 (규모 기준)..

1-11. 「공동주택 결로 방지를 위한 설계기준」에서 정하는 다음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온도차이비율(TDR, Temperature Difference Ratio)의 정의 2) 적용대상

공동주택 결로 방지를 위한 설계기준」은 국토교통부에서 제정하여 운영하는 기준으로, 공동주택의 구조체 및 단열 부위 등에서 발생하는 표면 결로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설계 및 시공 관련 사항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기준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온도차이비율(TDR)입니다. 1) 온도차이비율(TDR, Temperature Difference Ratio)의 정의정의: 온도차이비율(TDR)은 실내 공기와 외기 간의 온도차에 대한 실내 공기와 건축 부재의 실내측 표면 온도 간의 온도차의 비를 나타내는 무차원 지표입니다. 즉, 실내외 온도차 중 실내측 표면 온도가 실내 온도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백분율이 아닌 비율로 표현한 것입니다. 이 지표는 건축 부재의 단열 성능과 열교(Thermal Bridge)..

1-10. 「실내공기질 관리법」에서 정하는 ‘신축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각 항목별 권고 기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폼알데하이드 (Formaldehyde, HCHO): 210 ㎍/㎥ 이하합판, MDF, 가구, 접착제 등 다양한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며, 눈, 코, 목의 자극, 호흡기 질환, 아토피 피부염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대표적인 실내 오염물질입니다.벤젠 (Benzene): 30 ㎍/㎥ 이하건축자재, 페인트, 접착제, 흡연 등에서 발생하며, 중추신경계 영향 및 백혈병 등을 유발할 수 있는 1급 발암 물질입니다.톨루엔 (Toluene): 1,000 ㎍/㎥ 이하페인트, 접착제, 마감재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 고농도 노출 시 두통, 현기증, 신경계 영향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에틸벤젠 (Ethylbenzene): 360 ㎍/㎥ 이하건축자재, 페인트, 합성수지 등에서 발생하며, 중추..

1-9. 베이크 아웃(Bake out)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베이크 아웃(Bake-out)이란 신축 건물이나 리모델링을 마친 건물에서 건축자재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및 포름알데히드(HCHO)와 같은 유해 물질의 실내 농도를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 실시하는 과정입니다. 마치 빵을 오븐에 굽는 것처럼 건물의 온도를 일시적으로 높여 유해 물질의 방출을 촉진시킨 후, 충분한 환기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목적 및 배경:새집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의 주요 원인인 건축자재(합판, 접착제, 페인트, 벽지, 바닥재 등)에서 방출되는 유해 물질은 두통, 피로, 아토피,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베이크 아웃은 이러한 유해 물질이 입주 전에 단기간에 ..

1-8. 신축건물 준공 시 시공사가 건축주에게 인수인계할 때 건축기계설비분야에서 확인해야할 서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신축 건물이 준공될 때 시공사가 건축주에게 인수인계해야 할 서류들은 건축물의 정상적인 운영, 유지보수, 관리 및 향후 보수/개선 작업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건축기계설비 분야에서 특히 확인해야 할 주요 서류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건축기계설비 분야 인수인계 주요 서류준공 도면 (As-Built Drawings):내용: 설계 단계의 도면과 실제 시공된 내용이 다를 경우, 현장 변경 사항을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시공된 상태 그대로 작성된 도면입니다. 배관, 덕트, 장비의 실제 위치, 크기, 연결 상태 등이 정확하게 표시되어 있어야 합니다.중요성: 향후 유지보수, 수리, 개조 시 실제 설비의 위치와 경로를 파악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설계 도면만으로는 현장 상황을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준공 도면은 운영 단계..

1-7. 열역학 0, 1, 2, 3법칙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열역학은 에너지, 일, 열, 엔트로피, 그리고 상태량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물리학의 한 분야입니다. 열역학은 자연계에서 에너지와 열이 어떻게 행동하고 변환되는지를 설명하는 몇 가지 기본적인 법칙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주요 네 가지 법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열역학 제0법칙 (Zeroth Law of Thermodynamics)내용: 두 개의 시스템이 각각 세 번째 시스템과 열평형 상태에 있다면, 그 두 시스템은 서로 열평형 상태에 있다.설명: 이 법칙은 온도(Temperature)라는 개념의 존재와 그 측정의 논리적 기초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온도계(세 번째 시스템)가 물체 A와 접촉했을 때 더 이상 온도가 변하지 않고, 다시 물체 B와 접촉했을 때도 온도가 변하지 않는다면, 물체 A와 물체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