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베이크 아웃(Bake-out)이란 신축 건물이나 리모델링을 마친 건물에서 건축자재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및 포름알데히드(HCHO)와 같은 유해 물질의 실내 농도를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 실시하는 과정입니다.
마치 빵을 오븐에 굽는 것처럼 건물의 온도를 일시적으로 높여 유해 물질의 방출을 촉진시킨 후, 충분한 환기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목적 및 배경:
- 새집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의 주요 원인인 건축자재(합판, 접착제, 페인트, 벽지, 바닥재 등)에서 방출되는 유해 물질은 두통, 피로, 아토피,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베이크 아웃은 이러한 유해 물질이 입주 전에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방출되도록 유도하여, 입주 후 거주자가 노출되는 유해 물질의 총량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실시 방법:
일반적인 베이크 아웃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밀폐: 외부 공기가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모든 창문과 문을 닫습니다.
- 가구 문 열기: 서랍장이나 붙박이장 등 실내 가구의 문과 서랍을 모두 열어 유해 물질이 잘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합니다.
- 가열: 보일러나 다른 난방 장치를 사용하여 실내 온도를 30~40℃ (자재의 내구성을 고려한 적절한 범위 내에서 높게 설정)로 설정하고 5~8시간 동안 유지합니다. (제품 또는 전문가 권장 온도 및 시간 준수)
- 환기: 가열이 끝난 후 모든 창문과 문을 활짝 열어 1~2시간 동안 충분히 환기시킵니다. 실내의 고온 다습한 공기와 유해 물질을 외부로 배출합니다.
- 반복: 위의 1~4 과정을 3~5회 반복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원리: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유해 물질은 온도가 높을수록 더 빠르게, 더 많은 양이 방출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베이크 아웃은 이 원리를 이용하여 고온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상온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방출될 유해 물질을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나오게 하고, 이후 강력한 환기를 통해 이를 외부로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효과 및 유의사항:
- 효과: 실내 공기 중 휘발성 유해 물질의 초기 농도를 효과적으로 낮추어 새집증후군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유의사항:
- 사람이나 반려동물은 절대 실내에 머물러서는 안 됩니다. 고온 및 유해 물질 농도 증가로 건강에 매우 해로울 수 있습니다.
- 일부 건축자재나 마감재는 고온에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으므로, 자재의 특성을 확인하거나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 베이크 아웃은 유해 물질의 방출량을 완전히 없애는 것이 아니라 초기 농도를 낮추는 것이므로, 입주 후에도 지속적인 자연 환기나 기계 환기를 통해 실내 공기질을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베이크 아웃은 신축 또는 리모델링 후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중요한 초기 조치 중 하나입니다.
반응형
'건축기계설비기술사 > 130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1. 「공동주택 결로 방지를 위한 설계기준」에서 정하는 다음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온도차이비율(TDR, Temperature Difference Ratio)의 정의 2) 적용대상 (0) | 2025.05.03 |
---|---|
1-10. 「실내공기질 관리법」에서 정하는 ‘신축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 2025.05.02 |
1-8. 신축건물 준공 시 시공사가 건축주에게 인수인계할 때 건축기계설비분야에서 확인해야할 서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 2025.05.02 |
1-7. 열역학 0, 1, 2, 3법칙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 2025.05.02 |
1-6. 습공기선도를 도시하고 그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