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 45

2-5. 열원 및 공조기기(냉열기기, 온열기기, 공조방식, 반송기기)의 에너지절약에 대한 개요 및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건축물 에너지 소비에서 냉난방 및 환기를 포함한 공조 시스템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큽니다. 따라서 열원 기기 및 공조 관련 장비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시스템을 최적으로 운전하는 것은 건물 에너지 절약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에너지 절약은 단순히 고효율 장비 도입뿐만 아니라 시스템 설계, 설치, 운전, 유지관리 전반에 걸쳐 이루어져야 합니다. 1. 개요공조 시스템의 에너지 절약은 다음의 목표를 가지고 수행됩니다.에너지 소비량 최소화: 동일한 냉난방 및 환기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사용하는 에너지(전력, 연료 등)의 양을 줄입니다.운영 비용 절감: 에너지 소비량 감소는 직접적인 운영 비용 절감으로 이어집니다.환경 부하 감소: 화석 연료 사용량 감소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 및 기타 환경 오염 물질 배출을 ..

2-4. 수배관의 스케일생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생성 원인 2) 생성 영향요소 3) 방지대책

수배관 시스템, 특히 난방 및 냉방에 사용되는 배관이나 열교환 장비에서는 물 속에 녹아 있는 미네랄 성분이 침전되어 딱딱한 고형물 형태로 관 내벽에 쌓이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스케일(Scale)이라고 합니다. 스케일은 주로 탄산칼슘(CaCO₃)이나 탄산마그네슘(MgCO₃), 규산염 등으로 이루어지며, 시스템 성능 저하와 장비 수명 단축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1) 생성 원인수배관에서 스케일이 생성되는 주된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미네랄 성분 함유: 물 속에는 칼슘(Ca²⁺), 마그네슘(Mg²⁺)과 같은 경도 성분과 중탄산염(HCO₃⁻), 탄산염(CO₃²⁻)과 같은 알칼리도 성분 등 다양한 미네랄이 용해되어 있습니다. 스케일은 이러한 용존 미네랄이 침전되면서 형성됩니다.온도 상승: 가장 중요한 원인 ..

2-3. 공조용 전열교환기(Total Heat Exchanger)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종류별 특징 2) 설치시 장·단점

전열교환기(Total Heat Exchanger)는 환기 시스템에서 실내의 오염된 배기 공기가 가지고 있는 열(현열)과 습도(잠열)를 외부의 신선한 외기로 전달하여, 외기를 실내 조건에 가깝게 미리 조절(예열 또는 예냉 및 가습 또는 제습)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입니다. 이를 통해 외기를 직접 도입하는 경우보다 냉난방 부하를 크게 줄여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1) 종류별 특징전열교환기는 열과 습도를 교환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 대표적인 종류가 있습니다.판형 전열교환기 (Plate Type Total Heat Exchanger):구조: 얇은 투습성(Permeable) 소재의 평판을 여러 겹 쌓아 배기 공기와 외기가 각 판의 양면을 지나가도록 하여 열과 습도를 교환합니다. 공기 흐름이 분리..

2-2. TAB업무 중 공기 및 물분배계통 장비의 시험·조정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TAB(Testing, Adjusting, Balancing) 업무는 공조 설비의 설치가 완료된 후,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와 장비가 설계된 성능을 발휘하고 전체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작동하도록 시험(측정), 조정(설정 변경 및 조절), 그리고 평형(풍량/수량 분배)을 수행하는 전문 과정입니다. 이 중 공기 및 물 분배 계통의 주요 장비에 대한 시험 및 조정 사항은 해당 장비의 성능 확인과 최적 운전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1. 공기 분배 계통 장비의 시험 및 조정공기 분배 계통은 송풍기, 공조기(AHU), 덕트, 댐퍼, 취출구/흡입구 등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장비에 해당하는 주요 시험·조정 대상은 송풍기 및 공조기(AHU)와 그 내부에 포함된 코일 등입니다.송풍기 (Fan) / 공조기 (AHU):시험 (T..

2-1.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국토교통부)』에서 제시하는 BIM모델상세수준(6단계, 생애주기 단계별 모델상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국토교통부)』에서는 BIM 모델의 상세 수준(Level of Detail, LOD)을 프로젝트의 전체 생애 주기 단계별로 요구되는 정보의 수준과 활용 목적에 맞게 6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BIM 모델이 프로젝트 진행 단계에 따라 어떤 수준의 형상 정보(Geometry)와 속성 정보(Information)를 담아야 하는지를 명확히 함으로써, 참여자 간의 혼란을 줄이고 효과적인 BIM 활용을 유도하기 위함입니다. 다음은 동 지침에서 제시하는 생애 주기 단계별 BIM 모델 상세 수준 6단계에 대한 설명입니다. (지침의 구분에 따라 단계별 수준과 해당 단계의 모델 특징 및 활용 목적을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1단계: 초기 기획/개념 모델 수준 (Initial Plan..

1-13. 건물에서의 Cold Draft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정의 2) 발생원인 3) 방지대책

콜드 드래프트(Cold Draft)는 건축물 실내에서 발생하는 차가운 공기의 국지적인 흐름을 의미합니다. 실내 전체의 평균 온도는 적정하더라도 특정 부위에서 발생하는 차가운 기류 때문에 거주자가 불쾌감을 느끼거나 한기를 느끼게 되는 현상으로, 온열 쾌적성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종종 '외풍'으로도 인식될 수 있습니다. 1. 정의콜드 드래프트는 실내 공간 내에서 발생하는, 인체에 닿았을 때 불편함이나 차가움을 유발하는 감지 가능한 차가운 공기의 움직임입니다. 이는 실내 온도 설정값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특정 부위의 표면 온도가 낮거나 외부 공기가 유입될 때 발생하는 국지적인 기류 현상입니다. 2. 발생 원인콜드 드래프트는 주로 다음과 같은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차가운 표면에서의 하강 기류..

1-12. 환경부하 평가법 중에서 LCA(Life Cycle Assessment)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개념 2) 구성 3) 평가방법

LCA(Life Cycle Assessment), 우리말로는 전과정 평가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전체 생애 주기 동안 환경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환경 부하)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체계적인 방법론입니다. '요람에서 무덤까지(Cradle-to-Grave)'라는 관점에서, 원료 채취, 생산/가공, 유통/수송, 사용, 폐기 및 재활용 등 모든 단계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및 자원 소비, 그리고 대기, 수질, 토양, 폐기물 등으로 배출되는 오염 물질 등을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환경 영향을 평가합니다. 1. 개념정의: 특정 제품, 공정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모든 환경 부하 및 잠재적 환경 영향을 해당 시스템의 전체 생애 주기에 걸쳐 조사하고 평가하는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도구입니다.목표:제품이나 공정의 환경 성능을 종합적으..

1-11. 내단열과 외단열 특징을 다음 관점에서 비교·설명하시오. 1) 결로 위험성 2) 축열량(예열시간)을 고려한 난방방식 3) 온열쾌적성

건축물 외피(벽체, 지붕, 바닥)의 단열 방식은 크게 내단열과 외단열로 나눌 수 있으며, 각 방식은 결로 위험성, 축열 성능 및 난방 방식의 적합성, 온열 쾌적성 등에 있어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내단열 (Internal Insulation)구조체(콘크리트, 조적 등)의 실내측에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식입니다.일반적으로 시공이 비교적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리모델링 시 적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외단열 (External Insulation)구조체의 실외측에 단열재를 시공하고 그 위에 마감하는 방식입니다.구조체 전체를 단열재로 감싸는 형태가 됩니다.다음은 내단열과 외단열의 특징을 요청하신 관점에서 비교 설명입니다. 1) 결로 위험성내단열:결로 위험성 높음: 내단열 방식에서는 구조체가 단열재의 차..

1-10. 엑서지(Exergy)에 대하여 개념, 효율, 응용방법을 설명하시오.

엑서지(Exergy)는 열역학적 관점에서 에너지의 '질' 또는 '유용성'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단순한 에너지 양뿐만 아니라, 해당 에너지가 얼마나 유용하게 일로 전환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척도입니다. 1. 엑서지의 개념정의: 어떤 시스템 또는 에너지 흐름이 주어진 기준 환경(Reference Environment 또는 Dead State)과 열역학적 평형 상태(같은 온도, 같은 압력, 같은 화학 성분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시스템 외부와 상호 작용하며 최대로 생산할 수 있는 유용한 일(Useful Work)의 잠재력을 의미합니다.에너지와의 차이:에너지: 열역학 제1법칙에 따라 형태만 변환될 뿐 총량은 보존됩니다. (예: 전기 에너지 → 열 에너지)엑서지: 열역학 제2법칙과 관련..

1-9.공기냉각가열냉온수코일의 대수평균온도차(Logarithmic Mean Temperature Difference, LMTD)와 코일열수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공조 시스템에서 공기 냉각/가열을 위해 사용되는 냉온수 코일은 공기와 코일 튜브 내부를 흐르는 냉수 또는 온수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의 온도를 조절합니다. 이때 코일의 성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가 **대수 평균 온도차(LMTD)**와 코일의 열수입니다. 이 둘은 코일의 열 전달 능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1. 대수 평균 온도차 (Logarithmic Mean Temperature Difference, LMTD)정의: LMTD는 열교환기 내에서 두 유체(여기서는 공기와 물) 간의 평균적인 온도 차이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열교환기 내부에서는 두 유체의 온도가 계속 변화하므로, 입구와 출구에서의 단순 산술 평균 온도차로는 정확한 열 전달량을 계산하기 어렵습니다. LMTD는 이러한 온도 변화를 로그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