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4 12

4-4. 전공기방식으로 실내를 냉난방하는 대규모 사무실에 제연설비를 겸용하는 경우 공사 시 주의사항, 장․단점, 시운전 시 고려할 사항을 설명하시오.

전공기방식 HVAC 시스템의 제연설비 겸용에 대한 설명대규모 사무실 등에서 전공기방식(All-Air System)의 냉난방 시스템을 화재 발생 시 연기 확산을 막는 제연설비로 겸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일반적인 공조 덕트 및 팬을 사용하여 제연 구역에 급기하거나(가압 제연) 배기하는(배출 제연) 방식으로 운용하는 것입니다. 1. 공사 시 주의사항전공기방식 HVAC 시스템을 제연설비로 겸용하여 공사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덕트의 기밀 및 내화 성능: 제연설비로 사용되는 덕트는 일반 공조 덕트보다 훨씬 높은 기밀 성능이 요구됩니다. 덕트 이음새, 연결 부위, 보강재 체결 부위 등에 연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특수 기밀 처리(실링)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또한, 제연 덕트가 방화..

4-3. 냉각탑의 냉각수 온도가 기준 운전 조건 이하로 저하될 때 나타나는 장애와 이를 해결하는 온도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냉각탑 냉각수 온도가 기준 운전 조건 이하로 저하될 때의 장애 및 제어 방법냉각탑은 시스템(주로 냉동기 응축기 또는 산업 공정 설비)에서 발생한 열을 냉각수를 통해 흡수하여 대기 중으로 방출함으로써 냉각수를 차갑게 만드는 장치입니다. 냉각수 온도는 외부 환경 조건(건구 온도, 습구 온도) 및 시스템 부하에 따라 자연스럽게 변동합니다. 하지만 시스템 요구 사항이나 안전 기준에 비해 냉각수 온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면 다음과 같은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냉각수 온도 저하 시 나타나는 장애냉각탑에서 나가는 냉각수 온도가 기준 운전 조건(예: 냉동기 제조사 권장 응축수 입구 온도 범위 하한) 이하로 저하될 때 나타나는 주요 장애는 다음과 같습니다.냉동기 운전 불안정 및 효율 저하:저압 운전 및 써징: 냉..

4-2. 「기계설비법」제17조 및「기계설비 유지관리기준(국토교통부고시 제2021-1013호)」에따라 기계설비 성능점검 관련 법령, 성능점검 절차표, 성능점검 단계별 주요 사항에대하여 설명하시오.

「기계설비법」 제17조 및 동법에 근거한 「기계설비 유지관리기준(국토교통부고시)」은 건축물 등의 기계설비에 대한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통해 건축물의 가치를 향상시키고, 에너지 절약 및 안전을 확보하며, 미세먼지 저감 등 공기질 관리에도 기여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특히 성능점검은 이러한 유지관리의 핵심 절차 중 하나입니다. 1. 성능점검 관련 법령「기계설비법」 제17조 (기계설비의 유지관리)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 또는 시설물의 소유자 또는 관리자에게 기계설비의 기능유지 및 성능 확보를 위한 유지관리 기준을 준수하도록 의무를 부과합니다.유지관리 기준에는 성능점검 및 성능개선에 관한 사항이 포함됩니다.국토교통부 장관은 기계설비 유지관리 기준을 정하여 고시하도록 합니다.「기계설비 유지관리기준(국토교통부고시 제2..

4-1. 지역난방에서 열원을 공급 받는 수용가 기계실에서 난방 급탕 열교환기 제어장치시설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지역난방 공동주택 등의 수용가 기계실에는 지역난방 사업자로부터 공급받은 열원을 이용하여 해당 건축물의 난방 및 급탕 부하를 충족시키기 위한 열교환기 및 관련 설비가 설치됩니다. 이러한 설비의 효율적인 운영, 에너지 절감, 사용자 쾌적성 확보, 안전성 유지를 위해 정교한 제어 장치 시설이 필수적입니다. 제어 장치 시설 기준은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관련 KS 규격 및 지역난방 사업자의 기술 기준 등에 근거하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제어의 기본 목표에너지 효율 극대화: 지역난방 1차측 공급 온/압력 변화에 관계없이 2차측(수용가측) 필요 부하에 맞는 최소한의 열량만 사용하도록 제어하여 지역난방 에너지 소비를 줄입니다.쾌적성 유지: 난방 시 실내 설정 온도를,..

3-6. 현장에서 실내온도, 실외온도, 벽체의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벽체의 총열관류율 [W/(m2 ℃)]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현장에서 벽체의 총괄 열관류율(U)을 실내 공기 온도, 실외 공기 온도, 벽체의 실내외 표면 온도를 측정하여 산출하는 방법은 열 전달 기본 원리를 응용합니다. 총괄 열관류율 U는 벽체를 통한 단위 면적당 열 전달률과 실내외 공기 온도 차이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U= Q/A​ /(Ti​−To)​). 여기서 Q/A는 단위 면적당 열류량입니다.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됩니다.측정 조건 확보 (정상 상태):실내외 온도 조건이 비교적 안정적이고 벽체를 통한 열 흐름이 시간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는 정상 상태(Steady State)에 가까운 조건을 확보해야 합니다. 온도 변화가 심한 환경이나 일사량이 급변하는 시간대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측정 대상 벽체 면에 직접적인 복사열(예: 직사광선, 난방기 근처..

3-5. 불소화된 냉매(Fluorinated refrigerant) CFC, HCFC, HFC, FC의 명칭은 RXYZ로나타낸다.(단, R은 Refrigerant) 1) CFC, HCFC, HFC, FC 냉매에서 각 알파벳(H, C, F, C)이 나타내는 원소를 제시하시오. 2) 숫자 X, Y, Z 각각의 의미를 설명하시오. 3) 냉매 R123에서 탄소, 수소, 염소, 불소 각각의 개수를 제시하시오.

1) CFC, HCFC, HFC, FC 냉매에서 각 알파벳(H, C, F, C)이 나타내는 원소냉매 그룹의 명칭에서 각 알파벳이 나타내는 주요 원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마지막 'C'는 염소(Chlorine)를 의미합니다.CFC (Chlorofluorocarbon):C: Carbon (탄소)F: Fluorine (불소)C: Chlorine (염소)HCFC (Hydrochlorofluorocarbon):H: Hydrogen (수소)C: Carbon (탄소)F: Fluorine (불소)C: Chlorine (염소)HFC (Hydrofluorocarbon):H: Hydrogen (수소)C: Carbon (탄소)F: Fluorine (불소)(염소는 포함하지 않음)FC (Fluorocarbon, Perflu..

3-4. 배관 스케일(Scale)의 종류 및 생성 원인, 장애, 생성 방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배관 스케일(Scale)의 종류, 생성 원인, 장애 및 생성 방지배관 스케일(Scale)은 유체가 흐르는 배관 내벽에 침착되는 단단한 비금속성 무기물 또는 유기물 형태의 침전물을 총칭합니다. 이는 주로 유체 내에 용해되어 있던 물질들이 물리적, 화학적 변화에 의해 결정화되거나 고체화되어 배관 표면에 부착되면서 형성됩니다. 1. 배관 스케일의 종류배관 스케일은 유체의 성분과 시스템의 조건에 따라 다양하며, 주요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탄산칼슘 스케일 (Calcium Carbonate, CaCO3​):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스케일로, 물의 경도(칼슘, 마그네슘 이온)와 알칼리도(탄산염, 중탄산염)가 높을수록 잘 생성됩니다. 온도가 상승하거나 압력이 낮아지면 용해도가 감소하여 침전되기 쉽습니다. 단단하고 치밀..

3-3. 덕트누기시험(Duct Leakage Test) 중 영국공조건설협회규격(DW143)에 따른 시험목적 및 효과,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덕트 누기 시험(Duct Leakage Test) - 영국공조건설협회 규격(DW/143)에 따른 설명덕트 누기 시험은 공조 및 환기 덕트 시스템에서 외부로 새어나가는 공기 또는 외부에서 덕트 내부로 새어 들어오는 공기의 양(누설량)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영국공조건설협회 규격인 DW/143은 이러한 덕트 누기 시험에 대한 구체적인 절차, 허용 기준, 시험 방법 등을 제시하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표준 중 하나입니다. 1. 시험 목적 및 효과덕트 누기 시험(DW/143 기준)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시스템 성능 확인: 설계 단계에서 요구된 덕트 시스템의 기밀 성능이 실제 시공 후 확보되었는지 정량적으로 확인합니다.에너지 효율 증진: 조건화된 공기(냉방 또는 난방된 공기)가 덕트 누설을 통해 손실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