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 214

1-5. 위생안전기준 인증대상 수도용자재와 제품의 범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대한민국에서 「수도법」에 따라 위생안전기준 인증을 받아야 하는 수도용 자재와 제품은 국민에게 안전하고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물과 접촉하는 자재 및 제품의 위생상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지정되었습니다. 인증 대상의 주요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수도관:주철관류 등 금속관류합성수지관류 등 비금속관류기계 및 계측·제어용 자재 및 제품:밸브류펌프류수도꼭지류유량계류수도미터류도료 등 그 밖의 수도용 자재 및 제품:콘크리트 수조, 강제 수조 및 현장시공에 의한 관 등의 안쪽 면에 사용되는 도료그 밖에 음용을 목적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설치하는 수도용 자재 및 제품으로서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자재와 제품. 여기에는 정수시설 및 정수시설 외의 시설에 사용되는 다양한 자재와 제품이 포함될 수 있으며..

1-4. 공기선도에서 BF(By-pass Factor), ADP(Apparatus Dew Point)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BF (By-pass Factor, 바이패스 팩터)정의: BF는 공기가 냉각 코일을 통과할 때 코일 표면과 접촉하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는 공기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상적으로 냉각 코일을 통과한 모든 공기는 코일 표면 온도(ADP)까지 냉각 및 제습되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일부 공기는 코일 핀 사이를 접촉 없이 지나가게 됩니다. 이 접촉하지 않은 공기가 전체 공기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BF입니다.의미: BF 값이 높을수록 냉각 코일이 공기를 코일 표면 온도까지 충분히 냉각 및 제습하지 못하고, 코일의 성능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BF 값이 낮을수록 코일의 성능이 우수하며, 공기가 코일 표면과 더 잘 접촉하여 열 및 습기 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집니다.공기선도에서의 표현: 공기선도에서 BF는 ..

1-3. 건축물의 기계설비의 배관, 기기, 장비들에서 발생하는 이온화부식(GalvanicCorrosion)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건축물 기계설비에서 발생하는 이온화부식, 또는 갈바닉 부식(Galvanic Corrosion)은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이 전해질 용액(주로 물) 내에서 접촉할 때 발생하는 전기화학적 부식 현상입니다. 이는 마치 작은 배터리가 형성되는 것과 같은 원리로, 한 금속은 전자를 잃고 부식되며(양극, Anode), 다른 금속은 전자를 얻어 부식이 억제되거나 최소화됩니다(음극, Cathode). 이온화부식의 원리:금속마다 고유의 이온화 경향(전기화학적 전위)을 가지고 있습니다. 서로 다른 이온화 경향을 가진 두 금속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 주위에 물과 같은 전해질이 존재하면, 이온화 경향이 큰(전위가 낮은) 금속에서 작은(전위가 높은) 금속으로 전자가 이동하게 됩니다. 이때 전자를 잃는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이 ..

1-2. 배수 수평관(House Drain)에서 발생하는 도수현상(Hydraulic Jump)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배수 수평관(또는 옥내 배수 수평 주관)은 건물 내 각 부분에서 발생한 배수를 모아 건물 외부의 공공하수관으로 배출하는,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가진 수평 배관입니다. 이러한 배수 수평관에서 특정 조건 하에 **도수현상(Hydraulic Jump)**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도수현상(Hydraulic Jump)이란?도수현상은 쉽게 말해, 빠르고 얕은 흐름(사류, 射流, Supercritical flow)이 갑자기 느리고 깊은 흐름(상류, 常流, Subcritical flow)으로 변하는 구간에서 발생하는 수면의 급격한 상승 및 와류 현상입니다. 흐름의 에너지가 급격하게 소모되면서 유속은 줄고 수심은 늘어나는 특징을 보입니다.사류 (Supercritical flow): 유속이 매우 빠르고 수심이 얕은 ..

1-1. 배수수직관(Drainage Stack)에서의 종국유속(Terminal Velocity)과 종국길이(Terminal Length)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배수수직관은 건물 내에서 발생하는 오수나 배수를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흘려보내는 수직 배관을 말합니다. 이 배수수직관 내에서 물이 낙하할 때 나타나는 중요한 두 가지 개념이 종국유속과 종국길이입니다.1. 종국유속 (Terminal Velocity, 종단속도)정의: 물이 배수수직관 내를 낙하할 때, 처음에는 중력의 영향으로 속도가 점점 빨라집니다. 그러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공기 저항과 관벽과의 마찰 저항 또한 커지게 됩니다. 이렇게 증가하는 저항력(공기 저항 + 마찰 저항)이 물에 작용하는 중력과 같아지는 시점이 오면, 물에 작용하는 알짜힘이 0이 되어 더 이상 가속되지 않고 일정한 속도로 낙하하게 됩니다. 이 일정한 속도를 종국유속이라고 합니다.Vt = 0.635(Q/D)^(2/5)특징:종국유속에 도달..

4-6. 다음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환경영향평가의 정의 및 목적 2)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 3)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 정의 4)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종류

1) 환경영향평가의 정의 및 목적정의: 환경영향평가(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란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개발사업이나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할 때, 해당 사업이나 계획이 환경에 미칠 해로운 영향을 미리 예측, 분석 및 평가하여 환경보전 방안 등을 마련하는 절차를 말합니다. 이는 사업의 경제성, 기술성뿐만 아니라 환경성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이 되도록 유도하는 사전 예방적 환경관리 제도입니다.목적: 환경영향평가의 주된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사업이나 계획의 시행으로 인한 환경영향을 사전에 예측하고 평가하여 부정적인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거나 피하기 위한 최적의 대안 및 환경보전 방안을 마련하는 것입니다.사업계획 결정 시 환경적인 측면..

4-5.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 촉진법」에서 정하는 신재생에너지설비의종류 및 각 설비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 촉진법」 (이하 "신재생에너지법") 및 같은 법 시행령에서 규정하는 신재생에너지설비의 종류와 각 설비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신재생에너지는 크게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로 구분됩니다. 1. 신에너지 (New Energy)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수소ㆍ산소 등의 화학 반응을 통하여 전기 또는 열을 이용하는 에너지로서 다음의 에너지를 말합니다.수소에너지 (Hydrogen Energy):정의: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여 생산된 에너지.설비: 수소를 생산ㆍ저장ㆍ운송ㆍ이용하는 데 필요한 설비 및 그 부대설비 (예: 수전해설비, 수소 저장탱크, 수소충전소, 수소연료전지 등).연료전지 (Fuel Cells):정의: 수소, LNG, LPG, 메탄, 석탄가스 등 연료 중..

4-4. 단일덕트방식 중 정풍량방식(CAV, Constant Air Volume system)과 가변풍량방식(VAV, Variable Air Volume system)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단일덕트 방식은 하나의 덕트 시스템을 통해 공조 구역으로 조절된 공기를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에는 공기 공급량의 변화 여부에 따라 크게 정풍량 방식(CAV)과 가변풍량 방식(VAV)으로 나뉩니다.1. 정풍량 방식 (CAV, Constant Air Volume System)설명: 정풍량 방식(CAV)은 이름 그대로 공조 대상 구역으로 보내는 공기의 양(풍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식입니다. 냉방 또는 난방 부하 변동에 대응하기 위해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변화시켜 실내 온도를 조절합니다. 즉, 필요한 풍량은 항상 같고, 그 공기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춰서 실내의 열 부하를 처리합니다. 특징:장점:단순한 설계 및 제어: 구조가 간단하고 제어 시스템이 비교적 단순하여 설치 및 운영이 용이합니다.낮은 초기..

4-3. 냉각탑에서 다음을 설명하시오. 1) 고장의 현상 2) 현상에 대한 원인 3) 원인에 대한 대책

냉각탑은 냉동기나 산업 설비에서 발생한 폐열을 냉각수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하여 냉각수를 재사용 가능하게 하는 설비입니다. 냉각탑의 성능 저하나 고장은 건물 전체의 냉방 효율 저하, 에너지 소비 증가, 설비 수명 단축 등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일상적인 관찰과 문제가 발생했을 때의 신속한 대처가 중요합니다. 1. 냉각 성능 저하현상: 냉각탑 출구 수온이 높아져 냉각수 온도가 충분히 낮아지지 않습니다. 냉동기 효율이 떨어지거나 설비의 과열을 유발합니다.원인:순환 수량 부족: 펌프 고장, 배관 막힘, 스트레이너 막힘 등으로 인해 냉각탑으로 보내지는 냉각수 양이 부족합니다.살수 불량: 살수 노즐이 막히거나 파손되어 충진재에 물이 고르게 뿌려지지 않습니다.충진재 오염 또는 손상: 스케일, 슬라임, 이물질 등으..

4-2. 펌프 운전 시 에너지 절감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펌프는 건축물에서 급수, 배수, 냉난방수 순환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주요 에너지 소비 설비 중 하나입니다. 펌프 운전 시 에너지를 절감하는 것은 건물 유지관리 비용 절감 및 환경 부하 감소에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펌프 운전 시 에너지 절감 방법은 크게 시스템 설계 단계, 펌프 선정 단계, 그리고 운전 및 유지관리 단계로 나누어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시스템 설계 최적화펌프가 극복해야 하는 부하(양정 및 유량)는 시스템 설계에 크게 좌우됩니다. 설계 단계에서 에너지 효율을 고려하면 운전 중 에너지 소비를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배관 마찰 손실 최소화:적정 배관 구경 선정: 유속이 너무 빨라지지 않도록 배관 구경을 충분히 크게 설계하여 배관 내 마찰 손실을 줄입니다. 유속이 빠르면 마찰 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