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압가스 안전관리법 2

4-6. 고압가스를 이용한 신형상의 냉동기를 아래조건에 따라 설계, 제조하려 한다. 1일 냉동능력기준으로 해당 냉동기가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의 적용대상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이유를 설명하시오.

해당 냉동기가 「고압 가스 안전 관리법」의 적용 대상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냉동 능력(표준 냉동 능력)을 계산하고, 해당 법규에서 정하는 기준에 부합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1. 냉동 능력 계산:표준 냉동 능력(R)은 일반적으로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R = K × V × n × ηv여기서,R: 표준 냉동 능력 (톤)K: 냉매 상수 (주어진 값 C = 1.9를 사용)V: 압축기 행정 체적 (m³)n: 압축기 회전 속도 (rpm)ηv: 압축기 체적 효율주어진 설계 조건을 다음과 같이 변환합니다.행정 체적 (V): 41.5 cc = 41.5 × 10⁻⁶ m³압축기 회전 속도 (n): 2000 rpm압축기 체적 효율 (ηv): 75% = 0.75냉매 상수 (K): C = 1...

4-4.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령 제2조 고압가스 종류 및 범위에서 압축가스를정의하고있다. 냉동기에 적용하는 다음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압축가스 압력범위 2) 법정 냉동톤, 냉동톤, 냉각톤, 제빙톤 3) 기준 냉동사이클의 목적 4) 냉매 몰리에르선도(p-h)의 구성 5) 냉매 압축기 종류, 사용냉매 종류 및 냉동기 선정 기준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령 제2조 고압가스 종류 및 범위에 따른 압축가스 및 냉동기 적용 사항 설명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령 제2조에서는 고압가스의 종류와 범위를 정의하고 있으며, 그중 압축가스는 냉동기 냉매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1) 압축가스 압력 범위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령 제2조에 따르면 압축가스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가스를 말합니다.가. 상용(常用)의 온도에서 압력(게이지압력을 말한다. 이하 같다)이 1메가파스칼 이상이 되는 압축가스로서 실제로 그 압력이 1메가파스칼 이상이 되는 것 또는 섭씨 35도의 온도에서 압력이 1메가파스칼 이상이 되는 압축가스(아세틸렌가스는 제외한다) 나. 섭씨 15도의 온도에서 압력이 0파스칼을 초과하는 아세틸렌가스 다. 상용의 온도에서 압력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