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171

1-7. 공조방식 중 저온공조시스템의 장점과 주요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기술하시오.

저온 공조 시스템의 장점과 주요 문제점 및 대안저온 공조 시스템은 일반적인 공조 시스템보다 낮은 온도(일반적으로 12~15℃ 이하)의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여 냉방 효과를 얻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저온 공조 시스템은 여러 장점을 가지지만, 동시에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도 존재합니다. 1. 저온 공조 시스템의 장점:쾌적성 향상: 낮은 공급 공기 온도는 실내 온도를 빠르게 낮추고, 특히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더욱 효과적인 제습을 통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합니다.송풍량 감소: 동일한 냉방 부하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송풍량이 줄어들어 팬 동력 소비를 절감하고, 덕트 사이즈를 줄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제습 능력 향상: 냉각 코일의 표면 온도가 낮아져 공기 중의 수증기 응축량이 증가하므로, 보다 효과적..

1-6. 보일러의 안전장치 종류를 구분하고 각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보일러의 안전장치는 크게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압력 안전 장치: 보일러 내부 압력이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여 폭발 등의 사고를 예방하는 장치입니다.안전 밸브 (Safety Valve):보일러 내부 압력이 설정된 최고 허용 압력을 초과하면 자동으로 증기를 외부로 방출하여 압력을 낮추는 장치입니다.주로 증기 보일러에 설치되며, 스프링의 장력이나 추의 무게 등으로 설정 압력을 조절합니다.작동 시 큰 소리와 함께 증기가 분출되는 것이 특징입니다.정기적인 점검 및 작동 시험을 통해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압력 제한 스위치 (Pressure Limit Switch):보일러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면 자동으로 버너의 작동을 중단시켜..

1-5. 압축기 토출 압력이 지나치게 높을 때의 원인을 설명하시오.

압축기 토출 압력이 지나치게 높을 때의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흡입 압력 과다:압축기로 들어오는 흡입 압력이 정상보다 높으면, 압축 과정에서 토출되는 압력 또한 상승하게 됩니다. 이는 흡입 라인의 문제, 이전 단계 장치의 이상, 또는 시스템 요구 조건 변화 등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2. 압축비 과다:압축비는 토출 압력을 흡입 압력으로 나눈 값입니다. 필요한 토출 압력은 그대로인데 흡입 압력이 낮아지거나, 시스템의 요구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압축비가 커져 토출 압력이 상승합니다.3. 토출 라인 막힘 또는 제한: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배관이나 밸브 등에 막힘이나 심한 저항이 발생하면, 압축된 유체가 원활하게 빠져나가지 못하고 압축기 출구 쪽에 압력이 축적되어 토출 압력이 높아집니다.4. 토출 밸브 ..

1-4. 제백효과(Seebeck Effect)와 펠티어효과(Peltier Effect)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제백 효과와 펠티어 효과는 열과 전기의 상호 작용을 나타내는 열전 현상입니다. 이 두 효과는 서로 역관계에 있으며, 열전 소자의 작동 원리가 됩니다. 1. 제백 효과 (Seebeck Effect): 열에 의한 기전력 발생정의: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이나 반도체를 접합하여 폐회로를 만들고, 두 접점의 온도를 다르게 하면 회로에 기전력이 발생하여 전류가 흐르는 현상입니다.원리: 금속이나 반도체 내의 자유 전자는 온도에 따라 에너지 분포가 달라집니다. 온도가 높은 쪽의 자유 전자는 에너지가 높아 활발하게 움직여 온도가 낮은 쪽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서로 다른 두 물질은 자유 전자의 에너지 준위가 다르므로, 온도 차이가 있으면 전하의 불균형이 발생하여 기전력이 발생합니다.특징:발생되는 기전력의 크..

1-3. 농산물의 저온 저장 중 발생되는 장해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농산물을 저온 저장하는 것은 수확 후에도 호흡 작용, 증산 작용, 에틸렌 발생 등 생리적 활동이 지속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늦추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하지만 너무 낮은 온도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특정 농산물에서 다양한 장해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장해는 농산물의 종류, 품종, 성숙도, 저장 온도 및 기간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주요 저온 저장 장해 현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저온 장해 (Chilling Injury):특정 온도 이하에서 발생하는 생리적 장해로, 열대 및 아열대 과일과 채소에서 흔히 나타납니다.세포막 손상, 효소 활성 저하, 대사 이상 등을 유발하여 다양한 증상을 보입니다.증상:표면 변색: 갈변, 흑변 등반점 형성: 곰보, 함몰 반점 등조직 손상: 물러짐, 멍, ..

1-2. 중간냉각이 완전한 2단압축 2단팽창 냉동장치에 대하여 P-h선도를 작도하고, 냉동장치의 냉동효과 q(kJ/kg)를 구하는 계산식을 유도하시오.

2단압축 2단팽창 냉동장치의 P-h 선도 및 냉동효과 계산식 유도1. P-h 선도 작도각 지점의 의미:1: 증발기 출구 (저압, 저온 냉매)2: 1단 압축기 출구 (중간 압력, 고온 냉매)3: 중간 냉각기 출구 (중간 압력, 중간 온도 냉매)4: 2단 압축기 출구 (고압, 고온 냉매)5: 응축기 출구 (고압, 고온 액체 냉매)6: 1단 팽창 밸브 출구 (중간 압력, 저온 액체 냉매)7: 중간 냉각기 입구 (중간 압력, 저온 액체 냉매와 고온 기체 냉매 혼합)8: 2단 팽창 밸브 출구 (저압, 저온 액체 냉매)선도의 특징:압축 과정 (1-2, 3-4): 등엔트로피 압축으로 표현됩니다. 실제 과정에서는 약간의 엔트로피 증가가 있을 수 있습니다.중간 냉각 과정 (2-3): 등압 과정으로 표현됩니다. 중간 냉각..

1-1. 대류열전달 관련 누셀수(Nusselt number, Nu)는 강제 및 자연대류로 구분하여 무차원수관계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아래 관계식의 빈칸에 들어갈 무차원수를 쓰고, 각 무차원수의정의를 설명하시오. 1) 강제대류열전달 : Nu = f( , ) 2) 자연대류열전달 : Nu = f( , )

대류열전달 관련 누셀수(Nusselt number, Nu) 관계식 및 무차원수 정의1) 강제대류열전달:Nu = f(Re, Pr)Re(레이놀즈 수, Reynolds number):유체의 관성력과 점성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무차원수입니다.유체의 흐름이 층류인지 난류인지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Re = (ρVL) / μ (ρ: 유체 밀도, V: 유체 속도, L: 특성 길이, μ: 점성 계수)Pr(프란틀 수, Prandtl number):유체의 운동량 확산도와 열 확산도의 비율을 나타내는 무차원수입니다.유체의 열전달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Pr = ν / α (ν: 동점성 계수, α: 열 확산 계수)2) 자연대류열전달:Nu = f(Gr, Pr)Gr(그라쇼프 수, Grashof number):유체의 부력..

4-6. 「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에서 다음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1 ) 압력에 따른 도시가스 분류 2) 도시가스 배관의 도색 및 표시 방법 3) 배관의 고정 방법 4) 입상배관 설치 기준 5) 가스계량기 설치 장소 및 금지 장소

1 ) 압력에 따른 도시가스 분류가. “고압”이란 1메가파스칼 이상의 압력(게이지압력을 말한다. 이하 같다)을 말한다. 다만, 액체상태의 액화가스는 고압으로 본다.나. “중압”이란 0.1메가파스칼 이상 1메가파스칼 미만의 압력을 말한다. 다만, 액화가스가 기화되고 다른 물질과 혼합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0.01메가파스칼 이상 0.2메가파스칼 미만의 압력을 말한다.다. “저압”이란 0.1메가파스칼 미만의 압력을 말한다. 다만, 액화가스가 기화(氣化)되고 다른 물질과 혼합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0.01메가파스칼 미만의 압력을 말한다. 2) 도시가스 배관의 도색 및 표시 방법배관은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배관임을 명확하게 알아볼 수 있도록 다음 기준에 따라 도색 및 표시를 할 것 ① 배관은 그 외부에 사용가스명,..

4-5. 「하수도법 시행규칙」에서 배수설비의 설치기준 및 구조기준 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제23조(배수설비의 설치기준 및 구조기준 등) ① 법 제27조제10항에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이란 다음 각 호의 기준을 말한다.  1. 배수설비는 공공하수도 또는 다른 배수설비에 연결되도록 설치할 것. 다만, 가설건축물 등에서 발생하는 하수를 공공하수도관리청의 허가를 받아 법 제45조에 따른 분뇨수집ㆍ운반업자가 운반하여 공공하수처리시설에서 처리하는 경우에는 배수설비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2. 배수설비는 철근콘크리트, 경질(硬質)염화비닐, 도기, 그 밖에 내구성과 내부식성(耐腐蝕性)이 있는 자재를 사용하고 수밀구조(水密構造)로 할 것3. 분류식하수관로에 연결하는 배수설비는 오수(汚水)와 우수(雨水)가 분리되어 흐를 수 있는 구조로 할 것4. 배수설비를 공공하수도에 연결시킬 때에는 오수관과 우수..

4-4. 「기계설비 기술기준」에 대하여 다음을 각각 설명하시오. 1) 기계설비의 착공 전 확인 절차 등 2) 기계설비감리업무수행자의 확인 등 3) 사용 전 검사 절차 등

제18조(착공 전 확인 절차 등) ① 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구청장은 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하며, 이하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라 한다)은 영 제12조제1항에 따라 기계설비공사 착공 전 확인신청서를 받은 경우에는 해당 설계도서의 내용이 제8조에 따른 기계설비의 설계 기준에 적합하게 작성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②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기계설비공사 착공 전 확인신청서가 다음 각 호의 내용에 따라 올바르게 작성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1. 신청인(건축주) : 발주자 또는 그 대리인 2. 공사현장 명칭 및 주소 : 기계설비공사 현장의 명칭 및 주소 3. 공사의 종류 : 기계설비공사의 종류 4. 구조 및 용도 : 건축허가서에 기재된 해당 건축물등의 구조 및 용도 5. 건축면적 및 연면적/규모(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