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1 4

2-6. 녹색요금제도(Green Pricing)와 녹색프리미엄제도(Green Premium)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녹색요금제도와 녹색프리미엄제도는 기업이나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재생에너지 사용을 확대하고 관련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하지만 운영 방식과 특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녹색요금제도 (Green Pricing)정의: 녹색요금제도는 전력회사가 제공하는 선택형 요금제로, 소비자가 일반 전기요금보다 높은 요금을 지불하는 대신, 해당 요금으로 생산된 전력량만큼 재생에너지 전력을 공급받는 제도입니다.메커니즘:소비자는 전력회사가 제공하는 녹색요금제에 가입합니다.전력회사는 녹색요금제 가입자들이 지불하는 추가 요금을 활용하여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에 투자하거나,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자로부터 전력을 구매합니다.녹색요금제 가입자는 일반 전력망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지만, 자신이 사용한 전력량만큼 재생에너지로 ..

2-5. 수소에너지(Hydrogen Energy)와 관련하여 그레이수소(Gray Hydrogen), 블루수소(BlueHydrogen), 그린수소(Green Hydrogen)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수소 에너지는 연소 시 물만 배출하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생산 방식에 따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다릅니다.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 여부에 따라 그레이수소, 블루수소, 그린수소로 분류됩니다. 1) 그레이수소 (Gray Hydrogen)정의: 그레이수소는 화석 연료(천연가스, 석탄 등)를 사용하여 생산되는 수소입니다.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거나 저장하지 않고 대기 중으로 배출합니다.생산 방식: 주로 천연가스 개질(Steam Methane Reforming, SMR) 방식이 사용됩니다. 고온에서 수증기와 천연가스를 반응시켜 수소를 생산하며, 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CO₂)가 부산물로 발생합니다. 석탄 가스화 방식을 통해서도 생산될 수 있습니다.환경 영향: 현재 생산되는 ..

2-4. 연중 냉방기간 및 난방기간을 외기온도 및 실내 냉·난방온도를 활용한 도일(Degree-Day) 그래프로 표시(가로축:일(Day), 세로축:온도(℃))하고 난방도일을 활용한 보일러난방 연료비 산출과정을 설명하시오.

4. 도일(Degree-Day) 그래프 및 난방 연료비 산출 과정1) 도일(Degree-Day) 그래프도일은 특정 기준 온도보다 높거나 낮은 날들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냉난방 에너지 소비량을 예측하는 데 활용됩니다. 냉방도일(CDD, Cooling Degree Day)은 기준 온도보다 높은 날들의 정도를, 난방도일(HDD, Heating Degree Day)은 기준 온도보다 낮은 날들의 정도를 나타냅니다.그래프:아래는 연중 냉방기간 및 난방기간을 외기온도 및 실내 냉·난방온도를 활용하여 도일 그래프로 나타낸 예시입니다. (부산 지역의 일반적인 기후 특성을 반영하여 단순화한 그래프입니다.)설명:가로축 (일(Day)): 연중 날짜를 나타냅니다.세로축 (온도(℃)): 온도를 나타냅니다.외기 온도 곡선: ..

2-3.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 및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에 관한 규칙」에 따른 제로에너지건축물의 공조계획 설계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을 다음의 관점으로 각각 설명하시오. 1) 패시브(Passive) 기술 2) 액티브(Active) 기술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 및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에 관한 규칙」에 따른 제로에너지 건축물의 공조계획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패시브(Passive) 기술과 액티브(Active) 기술 관점에서 각각 설명하겠습니다. 1) 패시브(Passive) 기술 관점패시브 기술은 기계적인 시스템 사용을 최소화하고, 건축물의 설계 자체를 통해 에너지 부하를 줄이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제로에너지 건축물의 공조계획 설계 시 패시브 기술 관점에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건축물의 배치 및 형태 최적화:일사량 조절: 건물의 장축 방향을 남향으로 배치하여 겨울철 일사 획득을 최대화하고, 여름철 직사광선 유입을 최소화합니다.풍향 활용: 지역별 주 풍향을 고려하여 자연 환기가 용이하도록 건물의 형태와 개구부(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