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 및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에 관한 규칙」에 따른 에너지소요량 평가 방법은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등급을 부여하기 위한 중요한 절차입니다.
1. 평가 대상 및 범위
- 평가 대상: 신축, 증축, 개축, 재축, 이전, 대수선 또는 용도변경되는 건축물
- 평가 범위: 난방, 냉방, 급탕, 조명, 환기 등 건축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
2. 에너지소요량 평가 방법
- 1차 에너지 소요량 산정:
- 건축물의 설계 도면, 자재 사양, 설비 시스템 등을 기반으로 에너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1차 에너지 소요량을 산정합니다.
- 1차 에너지 소요량은 난방, 냉방, 급탕, 조명, 환기 등 각 에너지 소비 항목별로 산정됩니다.
- 산정된 에너지 소비량에 에너지원별 1차 에너지 환산계수를 적용하여 최종적인 1차 에너지 소요량을 계산합니다.
- 에너지 성능 지표 평가:
- 산정된 1차 에너지 소요량을 기준으로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을 평가합니다.
- 평가 지표는 건축물의 용도, 규모, 지역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 주요 평가 지표로는 단위 면적당 1차 에너지 소요량, 에너지 자립률 등이 있습니다.
3. 인증 등급 부여
- 평가된 에너지 성능 지표를 기준으로 건축물에 에너지 효율 등급 또는 제로에너지 건축물 등급을 부여합니다.
- 에너지 효율 등급은 1+++등급부터 7등급까지 있으며, 1+++등급에 가까울수록 에너지 효율이 높은 건축물입니다.
- 제로에너지 건축물 등급은 에너지 자립률에 따라 1등급부터 5등급까지 부여됩니다.
4. 주요 고려사항
- 건축물의 단열 성능: 외벽, 창호, 지붕 등의 단열 성능은 에너지 소비량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설비 시스템 효율: 냉난방 설비, 조명 설비, 환기 설비 등의 효율적인 설계 및 운영은 에너지 소비량을 줄이는 데 중요합니다.
- 신재생에너지 활용: 태양광,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설치는 에너지 자립률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 건축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BEMS): BEMS는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킵니다.
※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에 관한 규칙으로 2025년 1월 1일자로 개정되어 등급기준 변경됨. 풀이는 출제당시 기준으로 해설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