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계설비기술사/133회 기출문제 풀이

1-12.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다음 용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대수분할 운전 2) 비례제어 운전 3) 이코노마이저시스템(Economizer System) 4) 위험률

onha09 2025. 3. 27. 15:39
반응형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다음 용어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 대수분할 운전

  • 여러 대의 냉동기 또는 보일러를 설치하여 부하 변동에 따라 필요한 대수만큼 운전하는 방식입니다.
  • 부분 부하 운전 시 효율을 높이고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기기의 운전 시간을 분산시켜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냉방 부하가 적을 때는 1대만 운전하고, 부하가 증가하면 2대, 3대 순으로 추가 운전하는 방식입니다.

2. 비례제어 운전

  • 부하 변동에 따라 냉동기 또는 보일러의 용량을 연속적으로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 온도, 습도, 압력 등 제어 변수의 변화에 비례하여 냉동기 또는 보일러의 용량을 조절하여 정밀한 제어가 가능합니다.
  • 대수분할 운전과 달리 단계적인 운전이 아닌 연속적인 운전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3. 이코노마이저 시스템(Economizer System)

  • 외기 온도가 실내 온도보다 낮을 때, 냉방 부하를 외기로 처리하여 냉동기 가동 시간을 줄이는 시스템입니다.
  • 냉방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외기 냉방이라고도 합니다.
  • 공조 시스템에서 냉방 코일 전에 외기를 이용하여 냉방 효과를 얻고 냉동기 사용을 줄여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킵니다.

4. 위험률

  • 설계 외기 온도, 설계 외기 습도 등 설계 조건의 결정 시 사용되는 통계적 개념입니다.
  • 특정 설계 조건이 실제로 발생할 확률을 나타내며, 위험률이 낮을수록 설계 조건이 실제로 발생할 가능성이 낮습니다.
  • 예를 들어, 위험률 1%의 설계 외기 온도는 100년 중 1년 정도 초과하는 온도이며, 위험률 5%의 설계 외기 온도는 100년 중 5년 정도 초과하는 온도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