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회 58

1-11. 내단열과 외단열 특징을 다음 관점에서 비교·설명하시오. 1) 결로 위험성 2) 축열량(예열시간)을 고려한 난방방식 3) 온열쾌적성

건축물 외피(벽체, 지붕, 바닥)의 단열 방식은 크게 내단열과 외단열로 나눌 수 있으며, 각 방식은 결로 위험성, 축열 성능 및 난방 방식의 적합성, 온열 쾌적성 등에 있어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내단열 (Internal Insulation)구조체(콘크리트, 조적 등)의 실내측에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식입니다.일반적으로 시공이 비교적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리모델링 시 적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외단열 (External Insulation)구조체의 실외측에 단열재를 시공하고 그 위에 마감하는 방식입니다.구조체 전체를 단열재로 감싸는 형태가 됩니다.다음은 내단열과 외단열의 특징을 요청하신 관점에서 비교 설명입니다. 1) 결로 위험성내단열:결로 위험성 높음: 내단열 방식에서는 구조체가 단열재의 차..

1-10. 엑서지(Exergy)에 대하여 개념, 효율, 응용방법을 설명하시오.

엑서지(Exergy)는 열역학적 관점에서 에너지의 '질' 또는 '유용성'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단순한 에너지 양뿐만 아니라, 해당 에너지가 얼마나 유용하게 일로 전환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척도입니다. 1. 엑서지의 개념정의: 어떤 시스템 또는 에너지 흐름이 주어진 기준 환경(Reference Environment 또는 Dead State)과 열역학적 평형 상태(같은 온도, 같은 압력, 같은 화학 성분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시스템 외부와 상호 작용하며 최대로 생산할 수 있는 유용한 일(Useful Work)의 잠재력을 의미합니다.에너지와의 차이:에너지: 열역학 제1법칙에 따라 형태만 변환될 뿐 총량은 보존됩니다. (예: 전기 에너지 → 열 에너지)엑서지: 열역학 제2법칙과 관련..

1-9.공기냉각가열냉온수코일의 대수평균온도차(Logarithmic Mean Temperature Difference, LMTD)와 코일열수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공조 시스템에서 공기 냉각/가열을 위해 사용되는 냉온수 코일은 공기와 코일 튜브 내부를 흐르는 냉수 또는 온수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의 온도를 조절합니다. 이때 코일의 성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가 **대수 평균 온도차(LMTD)**와 코일의 열수입니다. 이 둘은 코일의 열 전달 능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1. 대수 평균 온도차 (Logarithmic Mean Temperature Difference, LMTD)정의: LMTD는 열교환기 내에서 두 유체(여기서는 공기와 물) 간의 평균적인 온도 차이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열교환기 내부에서는 두 유체의 온도가 계속 변화하므로, 입구와 출구에서의 단순 산술 평균 온도차로는 정확한 열 전달량을 계산하기 어렵습니다. LMTD는 이러한 온도 변화를 로그 함..

1-8. 냉동 사이클(Cycle)에서의 액봉현상을 정의하고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냉동 사이클에서 액봉현상(液封現象, Liquid Hammer)은 압축기의 가장 심각한 고장 원인 중 하나로, 압축기가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압축해야 하는 실린더 내부에 액체 상태의 냉매나 오일이 유입되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압축기는 기체를 압축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비압축성인 액체가 실린더에 들어가게 되면 압축 행정 시 과도한 압축력이 발생하면서 기계적인 충격과 손상을 유발합니다. 이를 액압축(Liquid Compression)이라고도 합니다. 1. 액봉현상의 정의액봉현상은 냉동 장치 운전 중 다양한 원인에 의해 액체 상태의 냉매 또는 과도한 오일이 압축기의 흡입측을 통해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어, 피스톤(왕복동 압축기) 또는 로터(스크롤/스크류 압축기)가 액체를 압축하려 할 때 발생하는 매우 높은..

1-7. 휀(Fan)에서 발생 할 수 있는 맥동현상(Surging)의 원인과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휀(Fan), 즉 송풍기에서 발생하는 맥동현상(Surging 또는 Surge)은 송풍 시스템의 불안정한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현상입니다. 이는 송풍기의 성능 저하, 소음 및 진동 유발, 심할 경우 장비 손상까지 초래할 수 있는 위험한 상태입니다. 1. 맥동현상(Surging)의 원인맥동현상은 송풍기의 정압-풍량 성능 곡선과 시스템 저항 곡선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발생합니다.송풍기 성능 곡선: 송풍기가 특정 풍량에서 낼 수 있는 정압(공기를 밀어내는 압력)을 나타내는 곡선입니다. 이 곡선은 일반적으로 풍량이 증가함에 따라 정압이 증가하다가 최고점에 도달한 후 풍량이 더 증가하면 정압이 감소하는 특성을 보입니다. 최고 정압점을 기준으로 좌측(저풍량 영역)의 특정 구간은 불안정(Stall Region 또는 U..

1-6. 메트(Met)와 클로(Clo) 단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메트(Met)와 클로(Clo) 단위 설명메트(Met)와 클로(Clo)는 건축 환경 및 HVAC 분야에서 **사람의 열 쾌적성(Thermal Comfort)**을 평가하고 공조 시스템 설계에 활용되는 중요한 단위입니다. 이 두 단위는 사람이 주변 환경과 어떻게 열을 주고받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1. 메트 (Met)정의: 메트(Met)는 사람의 신진대사율(Metabolic Rate), 즉 사람이 활동을 통해 단위 시간당 몸 안에서 생산하는 열량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사람의 활동 수준에 따라 발생하는 열량이 달라지므로, 메트는 활동 강도를 정량화하는 지표로 사용됩니다.기준: 1 Met는 성인이 편안하게 앉아서 휴식할 때의 신진대사율로 정의됩니다. 이는 체표면적 제곱미터당 약 58.2 W/m²에 해..

1-5. 다음 용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1) 선형열관류율(Linear Thermal Transmittance)2) 열교(Thermal Bridge)

1. 선형 열관류율 (Linear Thermal Transmittance, Ψ-value)정의: 선형 열관류율은 건축 외피(벽, 지붕, 바닥 등)의 선형적인 접합부(Junction)나 선형적인 형태의 열교(Thermal Bridge)를 통해 발생하는 추가적인 열 흐름(Extra Heat Flow)을 해당 열교의 단위 길이당, 단위 온도차당으로 나타낸 값입니다. 일반적인 면적 열관류율(U-value, W/(m²·K))이 평활한 벽체나 지붕과 같이 면을 통해 전달되는 열량을 단위 면적당 나타내는 반면, 선형 열관류율(Ψ-value, W/(m·K))은 벽과 지붕의 접합부, 창틀 주변부, 구조체가 단열층을 관통하는 부위 등 길이 개념을 가진 선형적인 불연속 부위에서 발생하는 추가적인 열 손실을 정량화합니다.단위..

1-4. 건설기술용역사업 평가방식 중 다음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PQ(Pre-Qualification) 2) SOQ(Statement of Qualification) 3) TP(Technical Proposal)

건설기술용역사업은 프로젝트의 품질, 안전성, 효율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용역 수행자의 기술력과 경험을 면밀히 평가하여 가장 적합한 업체를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주로 다단계의 평가 방식을 사용하며, 그 과정에서 PQ, SOQ, TP 등의 용어가 사용됩니다. 1) PQ (Pre-Qualification) / 사전심사정의: PQ는 Pre-Qualification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사전심사라고 합니다. 건설기술용역사업 입찰 참가 자격을 미리 심사하여 일정 기준 이상의 자격 요건을 갖춘 업체만을 추려내는 1단계 평가 절차입니다. 본격적인 기술 제안서 평가에 앞서 부적격 업체를 걸러내는 예비 심사 성격입니다.주요 평가 내용:업체의 유사 용역 수행 실적 (총괄 실적, 규모별 실적 등)업체..

1-3. 보일러의 이상 현상을 설명하는 다음 용어에 대한 정의와 발생 원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캐리오버(Carry Over) 2) 프라이밍(Priming) 3) 포밍(Foaming)

보일러에서 증기를 생산할 때, 정상적인 증기 외에 보일러 수(缶水)의 일부 또는 불순물이 증기와 함께 보일러 밖으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통틀어 이상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증기 품질을 저하시키고 후단 설비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용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캐리오버(Carry Over)정의: 보일러 드럼 내의 보일러 수 또는 보일러 수에 포함된 용존성/부유성 고형물 등이 증기와 함께 보일러 밖으로 실려 나가는 현상을 통칭합니다. 프라이밍이나 포밍과 같은 특정 이상 현상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용어입니다. 즉, 프라이밍이나 포밍이 발생하면 캐리오버가 일어납니다.발생 원인: 주로 프라이밍이나 포밍에 의해 발생하며, 이 외에도 보일러 수위가 너무 높거나, 증기 인출량이 과도하게 ..

1-2. 지열시스템을 위한 천공 시 그라우팅(Grouting) 작업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목적(환경 및 성능상의 목적) 2) 시멘트 계열 그라우트 재료의 특징

지열 시스템을 위해 땅에 구멍(천공 또는 시추공)을 뚫고 지중 열교환기(지열 루프관)를 삽입한 후, 천공 벽면과 루프관 사이의 빈 공간(환상 공간, Annulus)을 특수한 재료로 채우는 작업을 그라우팅이라고 합니다. 그라우팅은 지열 시스템의 성능과 환경 안전성 확보에 매우 중요한 공정입니다. 1) 목적 (환경 및 성능상의 목적)지열 시스템 천공 시 그라우팅 작업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환경상의 목적:지하수 오염 방지 및 수직 유동 차단: 지열공은 여러 지층과 지하수층(대수층)을 관통할 수 있습니다. 그라우팅은 각 지하수층 사이의 물리적인 연결을 차단하여, 오염된 지하수가 깨끗한 지하수층으로 이동하거나, 지표면의 오염 물질이 지하수로 스며드는 것을 막는 차수벽(Seal) 역할을 합니다. 이는 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