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50

3-4. 저온공조(대온도차)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설계방법(순서) 2) 장·단점

저온 공조(대온도차) 시스템저온 공조(Low-Temperature Air Conditioning) 시스템은 기존의 공조 시스템(일반적으로 냉방 시 급기 온도 13~15℃)과 달리, 급기 온도를 더 낮게 설정(예: 8~10℃)하여 공급하고 그 결과 실내 환기 온도와의 온도 차이(대온도차)를 크게 활용하여 냉방 부하를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동일한 냉방 부하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풍량(공기량)을 줄이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1) 설계 방법 (순서)저온 공조 시스템의 설계는 일반적인 공조 설계 절차와 유사하지만, 낮은 급기 온도 설정을 중심으로 관련 요소들을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부하 산정: 건물의 실내 설계 조건(온도, 습도), 외기 설계 조건 등을 설정하고, 각 구역 및 전체 건물의 냉방 부하(현열..

3-3. 냉동 사이클(Cycle)에서의 플래시 가스(Flash Gas)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발생원인 2) 영향 3) 방지대책

냉동 사이클에서 플래시 가스(Flash Gas)는 응축기에서 나온 액체 냉매가 팽창 밸브를 통과하기 전 또는 통과하는 과정에서 증발기에서 열을 흡수하여 냉각 효과를 내기 전에 미리 증발하여 기체 상태가 된 냉매를 의미합니다. 이는 특히 액관이나 팽창 밸브 내부에서 발생하며, 시스템 효율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1) 발생 원인플래시 가스가 발생하는 주된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압력 강하 (Pressure Drop): 액체 냉매가 팽창 밸브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응축 압력에서 증발 압력으로 급격히 떨어집니다. 이때 액체 냉매가 이미 증발 온도보다 약간 높은 온도를 가지고 있거나, 압력 강하로 인해 해당 압력에서의 포화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액체 냉매의 일부가 스스로 증발하면서 남은 액체의 온..

3-2. 생태건축의 개요 및 설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생태건축의 개요생태건축(Ecological Architecture)은 건축물이 건설되고 사용되는 과정에서 자연 환경과 인간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자연 생태계와의 조화와 공생을 추구하는 건축의 철학이자 실천적인 방법론입니다. 이는 단순히 에너지를 절약하는 수준을 넘어, 건물의 전 생애 주기(기획, 설계, 시공, 운영, 해체 등)에 걸쳐 자원 소비 및 환경 부하를 최소화하고, 주변 생태계와의 관계를 고려하며, 거주자에게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생태건축은 다음과 같은 핵심 가치를 추구합니다.환경 보전: 자연 자원 및 에너지 소비 최소화, 오염 물질 배출 감소,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 보전.인간 건강 및 쾌적성: 유해 물질 사용 최소화, 자연 채광 및 ..

3-1. 부식의 개요, 종류,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부식의 개요부식(Corrosion)은 금속 재료(때로는 비금속 재료도 포함)가 주변 환경과의 화학적 또는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점진적으로 열화(deteriorate)되거나 손상되는 자연적인 과정입니다. 금속은 제련 과정을 통해 불안정한 에너지 상태가 되며, 자연 상태의 안정된 화합물(광석 형태 등)로 돌아가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산소, 물, 산, 염분, 화학 물질 등 주변 환경의 요소와 반응하여 산화물, 수산화물 등의 형태로 변질됩니다.부식은 재료의 강도 저하, 형상 변화, 기능 상실, 제품 수명 단축, 안전 사고(누설, 파손 등), 미관 손상, 유지보수 비용 증가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므로 공학 및 산업 분야 전반에서 중요한 관리 대상입니다. 2. 부식의 종류부식은 발생하는 형..

2-6. 열병합발전(Co-Generation)의 개요, 장단점, 시스템 종류, 시스템 사용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열병합발전(Co-Generation)은 Combined Heat and Power (CHP) 또는 Integrated Energy System이라고도 불리며, 하나의 에너지원(주로 연료)을 사용하여 전기 또는 동력과 유용한 열(난방, 냉방, 공정열 등)을 동시에 생산하는 에너지 시스템입니다. 이는 전기와 열을 각각 생산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개요기존의 전력 생산 방식은 발전소에서 전기를 생산하고 송전 과정에서 손실이 발생하며,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폐열은 대부분 버려집니다. 또한 필요한 열은 각 건물이나 시설에서 별도의 보일러 등으로 생산합니다. 열병합발전은 이러한 두 과정을 통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배열(폐열..

2-5. 열원 및 공조기기(냉열기기, 온열기기, 공조방식, 반송기기)의 에너지절약에 대한 개요 및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건축물 에너지 소비에서 냉난방 및 환기를 포함한 공조 시스템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큽니다. 따라서 열원 기기 및 공조 관련 장비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시스템을 최적으로 운전하는 것은 건물 에너지 절약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에너지 절약은 단순히 고효율 장비 도입뿐만 아니라 시스템 설계, 설치, 운전, 유지관리 전반에 걸쳐 이루어져야 합니다. 1. 개요공조 시스템의 에너지 절약은 다음의 목표를 가지고 수행됩니다.에너지 소비량 최소화: 동일한 냉난방 및 환기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사용하는 에너지(전력, 연료 등)의 양을 줄입니다.운영 비용 절감: 에너지 소비량 감소는 직접적인 운영 비용 절감으로 이어집니다.환경 부하 감소: 화석 연료 사용량 감소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 및 기타 환경 오염 물질 배출을 ..

2-4. 수배관의 스케일생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생성 원인 2) 생성 영향요소 3) 방지대책

수배관 시스템, 특히 난방 및 냉방에 사용되는 배관이나 열교환 장비에서는 물 속에 녹아 있는 미네랄 성분이 침전되어 딱딱한 고형물 형태로 관 내벽에 쌓이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스케일(Scale)이라고 합니다. 스케일은 주로 탄산칼슘(CaCO₃)이나 탄산마그네슘(MgCO₃), 규산염 등으로 이루어지며, 시스템 성능 저하와 장비 수명 단축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1) 생성 원인수배관에서 스케일이 생성되는 주된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미네랄 성분 함유: 물 속에는 칼슘(Ca²⁺), 마그네슘(Mg²⁺)과 같은 경도 성분과 중탄산염(HCO₃⁻), 탄산염(CO₃²⁻)과 같은 알칼리도 성분 등 다양한 미네랄이 용해되어 있습니다. 스케일은 이러한 용존 미네랄이 침전되면서 형성됩니다.온도 상승: 가장 중요한 원인 ..

2-3. 공조용 전열교환기(Total Heat Exchanger)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종류별 특징 2) 설치시 장·단점

전열교환기(Total Heat Exchanger)는 환기 시스템에서 실내의 오염된 배기 공기가 가지고 있는 열(현열)과 습도(잠열)를 외부의 신선한 외기로 전달하여, 외기를 실내 조건에 가깝게 미리 조절(예열 또는 예냉 및 가습 또는 제습)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입니다. 이를 통해 외기를 직접 도입하는 경우보다 냉난방 부하를 크게 줄여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1) 종류별 특징전열교환기는 열과 습도를 교환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 대표적인 종류가 있습니다.판형 전열교환기 (Plate Type Total Heat Exchanger):구조: 얇은 투습성(Permeable) 소재의 평판을 여러 겹 쌓아 배기 공기와 외기가 각 판의 양면을 지나가도록 하여 열과 습도를 교환합니다. 공기 흐름이 분리..

2-2. TAB업무 중 공기 및 물분배계통 장비의 시험·조정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TAB(Testing, Adjusting, Balancing) 업무는 공조 설비의 설치가 완료된 후,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와 장비가 설계된 성능을 발휘하고 전체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작동하도록 시험(측정), 조정(설정 변경 및 조절), 그리고 평형(풍량/수량 분배)을 수행하는 전문 과정입니다. 이 중 공기 및 물 분배 계통의 주요 장비에 대한 시험 및 조정 사항은 해당 장비의 성능 확인과 최적 운전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1. 공기 분배 계통 장비의 시험 및 조정공기 분배 계통은 송풍기, 공조기(AHU), 덕트, 댐퍼, 취출구/흡입구 등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장비에 해당하는 주요 시험·조정 대상은 송풍기 및 공조기(AHU)와 그 내부에 포함된 코일 등입니다.송풍기 (Fan) / 공조기 (AHU):시험 (T..

2-1.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국토교통부)』에서 제시하는 BIM모델상세수준(6단계, 생애주기 단계별 모델상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건설산업 BIM 기본지침(국토교통부)』에서는 BIM 모델의 상세 수준(Level of Detail, LOD)을 프로젝트의 전체 생애 주기 단계별로 요구되는 정보의 수준과 활용 목적에 맞게 6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BIM 모델이 프로젝트 진행 단계에 따라 어떤 수준의 형상 정보(Geometry)와 속성 정보(Information)를 담아야 하는지를 명확히 함으로써, 참여자 간의 혼란을 줄이고 효과적인 BIM 활용을 유도하기 위함입니다. 다음은 동 지침에서 제시하는 생애 주기 단계별 BIM 모델 상세 수준 6단계에 대한 설명입니다. (지침의 구분에 따라 단계별 수준과 해당 단계의 모델 특징 및 활용 목적을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1단계: 초기 기획/개념 모델 수준 (Initial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