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술사/136회 기술문제 풀이

4-5. 1-shell pass(저온유체), 2-tube pass(고온유체) 원통-관(shell-tube) 열교환기에서 질량유량이1 kg/s인 저온유체(비열 4.2 kJ/(kg·℃))의 입구온도(T1)가 20℃, 출구온도(T2)가 50℃이고,질량유량이 2.5 kg/s인 고온유체(비열 3.6 kJ/(kg·℃))의 입구온도(t1)가 75℃일 때, 보정계수 F를다음 그래프에서 찾아 필요한 열교환기 면적(m2)을 구하시오.

onha09 2025. 5. 19. 12:52
반응형

 

1. 열전달률 () 계산

저온 유체(shell-side)의 정보를 사용하여 열전달률을 계산합니다.

  • 저온 유체 질량 유량 ():
  • 저온 유체 비열 ():
  • 저온 유체 입구 온도 ( 또는 그래프의 ):
  • 저온 유체 출구 온도 ( 또는 그래프의 ):

 

2. 고온 유체 출구 온도 ( 또는 그래프의 ) 계산

고온 유체(tube-side)가 잃은 열은 저온 유체가 얻은 열과 같습니다.

  • 고온 유체 질량 유량 ():
  • 고온 유체 비열 ():
  • 고온 유체 입구 온도 ( 또는 그래프의 ):

 

3. 보정 계수 결정을 위한 계산

그래프의 표기법을 따릅니다:

  • 쉘 측 유체(저온 유체): ,
  • 튜브 측 유체(고온 유체): ,

 

4. 그래프에서 보정 계수 찾기 이고 입니다. 에서 값에 대해 선형 보간합니다.

  • 일 때, 커브에서
  • 일 때, 커브에서

 

5. 대수 평균 온도차 () 계산

향류형 열교환기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6. 필요한 열교환 면적 () 계산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반올림하면 입니다.

 

최종 답변:

필요한 열교환 면적()은 입니다.

반응형

'공조냉동기계기술사 > 136회 기술문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4-4. 데이터센터의 고밀도 랙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냉방시스템 설계전략에 대하여다음 각 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고밀도 랙 대응을 위한 공조 방식의 변화 2) 무중단 운전을 위한 시스템 구성 사례 3) 에너지절감 및 유지관리 편의성을 고려한 설계 요소 4) CFD, BIM 등 디지털 기술이 데이터센터 냉방계획에 미치는 영향  (0) 2025.05.19
4-3. 냉동기 및 공조기 데이터 측정 시 발생하는 결측치에 대하여 다음 각 항목을 중심으로설명하시오.1) 결측치 발생 원인 2) 결측치가 성능 분석에 미치는 영향 3) 결측치 처리 방법 분류 4) HVAC 분야에서의 적용 사례  (0) 2025.05.19
4-2. 최근 기계실의 배관 방식은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도입 확대와 자동제어 기술의 발달로 인해 변화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기존 헤더(Header) 방식에서 루프(Loop) 방식으로변경하는 기법이 대두되고 있다. 두 방식에 대하여 개요와 차이점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0) 2025.05.19
4-1. 냉매로 물을 사용하고 흡수제로 리튬브로마이드(LiBr) 수용액을 사용하는 흡수식냉동기에서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의 결정사고가 발생하였다. 그 원인과 대책(해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2025.05.19
3-6. 다음 조건으로 운전되는 LiBr/H2O 1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를 가정하여 성적계수(COP)를 구하시오.  (0) 2025.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