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술사/136회 기술문제 풀이

4-4. 데이터센터의 고밀도 랙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냉방시스템 설계전략에 대하여다음 각 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고밀도 랙 대응을 위한 공조 방식의 변화 2) 무중단 운전을 위한 시스템 구성 사례 3) 에너지절감 및 유지관리 편의성을 고려한 설계 요소 4) CFD, BIM 등 디지털 기술이 데이터센터 냉방계획에 미치는 영향

onha09 2025. 5. 19. 12:46
반응형

데이터센터 고밀도 랙 환경 대응 냉방 시스템 설계 전략

최근 데이터센터는 서버 및 IT 장비의 성능 향상으로 인해 랙(Rack)당 발열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밀도 랙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냉방 시스템 설계는 데이터센터의 안정적인 운영, 에너지 효율성 확보, 그리고 유지관리 편의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1) 고밀도 랙 대응을 위한 공조 방식의 변화

데이터센터의 랙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냉방 방식 또한 진화해왔습니다.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증가하는 국소적인 열 부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 룸(Room)형 냉방 방식 (Computer Room Air Conditioner - CRAC / Computer Room Air Handler - CRAH): 과거 저밀도 랙 환경에서는 CRAC/CRAH 장치에서 찬 공기를 불어내고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공간 전체를 냉각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차가운 공기를 바닥 아래 덕트나 이중 마루 하부 공간을 통해 공급하고, 서버 랙을 통과하며 데워진 공기를 상부나 CRAC/CRAH 흡입구로 회수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랙 밀도가 높아지면서 CRAC/CRAH에서 공급되는 찬 공기가 랙의 뜨거운 배기열과 혼합되어 냉방 효율이 떨어지고 랙의 특정 부분에서 핫스팟(Hotspot)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 열/냉 복도 격리 (Hot/Cold Aisle Containment): 룸형 냉방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된 방식입니다. 서버 랙의 흡입구(찬 복도)와 배기구(더운 복도)를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찬 공기와 더운 공기의 혼합을 방지하고 냉방 효율을 높입니다. 찬 복도를 밀폐하여 찬 공기가 랙의 흡입구로만 흐르도록 하거나, 더운 복도를 밀폐하여 랙에서 배출된 더운 공기가 CRAC/CRAH로 직접 회수되도록 합니다.
  • 열원 근접 냉각 방식 (Close-Coupled Cooling / In-Row Cooling): 랙의 발열량이 더욱 증가함에 따라 열원과 냉각 장치를 물리적으로 가깝게 배치하는 방식이 등장했습니다. 랙 열(列) 사이에 인로(In-Row) 냉각 장치를 설치하여 랙에서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를 즉시 흡입하여 냉각한 후 찬 공기를 랙의 흡입구로 공급합니다. 이는 랙의 발열에 직접적으로 대응하여 핫스팟 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냉방 효율을 크게 높입니다.
  • 랙 레벨 냉각 방식 (In-Rack Cooling / Direct Liquid Cooling): 최고 밀도의 랙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방식입니다. 냉각 장치를 랙 내부에 설치하거나, 서버 부품에 직접 냉매 또는 냉각수를 공급하여 발생하는 열을 직접 흡수합니다. 액체 냉각 방식은 공랭식으로는 처리하기 어려운 매우 높은 발열 밀도를 가진 장비 냉각에 효과적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데이터센터의 냉방이 '공간 냉방'에서 '열원 냉각'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2) 무중단 운전을 위한 시스템 구성 사례

데이터센터는 24시간 365일 중단 없이 운영되어야 하므로 냉방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이중화(Redundancy) 및 백업 시스템 구성이 적용됩니다.

  • N+1 이중화: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최소 용량(N)에 더하여 최소 1대 이상의 여유 장비를 추가하는 방식입니다. 시스템 운영 중 일부 장비가 고장 나더라도 나머지 장비와 여유 장비가 부하를 분담하여 냉방 기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예: 필요한 냉동기가 3대일 경우 4대 설치)
  • 2N 이중화: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용량 전체(N)를 담당할 수 있는 별도의 독립적인 시스템(또 다른 N)을 추가로 구축하는 방식입니다. 주 시스템 전체가 중단되더라도 백업 시스템이 독립적으로 운영되어 냉방 기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가장 높은 수준의 신뢰성을 제공하지만 비용이 많이 듭니다. (예: 필요한 냉동기 라인이 2대일 경우, 동일한 2대 라인을 추가로 설치하여 총 4대 운영)
  • 분산형 시스템 구성: 여러 개의 독립적인 소규모 냉방 시스템을 구성하여 특정 시스템의 고장이 전체 냉방 중단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인로 냉각 방식 등이 분산형 시스템 구성에 유리할 수 있습니다.
  • 비상 전원 및 자동 전환: 상용 전원 공급 중단 시 비상 발전기나 UPS(무정전 전원 장치)가 즉시 작동하여 냉방 시스템의 주요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합니다. 자동 전환 시스템을 통해 전원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 다중 경로 배관 및 전기 공급: 냉수 배관, 냉각수 배관, 전력 공급 라인 등을 다중 경로로 구성하여 특정 경로의 문제가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이중화 및 분산 구성을 통해 데이터센터 냉방 시스템의 가용성을 최대한 높여 무중단 운전을 지원합니다.

 

3) 에너지 절감 및 유지관리 편의성을 고려한 설계 요소

고밀도 데이터센터의 운영 비용 중 상당 부분이 냉방에 소요되므로 에너지 효율성은 핵심적인 설계 목표입니다. 동시에 복잡한 시스템의 유지관리 편의성도 중요합니다.

  • 외기 냉방 (Free Cooling): 외기 온도가 낮을 때 외부의 찬 공기를 직접 이용하거나 냉각탑을 통해 냉수를 생산하여 냉방에 활용하는 방식입니다. 기계적인 냉동기 운전을 줄여 에너지 소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습니다.
  • 고효율 냉동기 및 CRAC/CRAH: 에너지 효율비(EER, IPLV)가 높은 냉동기 및 CRAC/CRAH 장비를 선정하고, 변풍량(VAV), 변수량(VWV) 제어 시스템을 적용하여 부하 변동에 따라 효율적으로 운전되도록 합니다.
  • 핫/냉 복도 격리: 물리적인 격리를 통해 찬 공기와 더운 공기의 혼합을 방지하여 냉각 장치의 효율을 높이고 필요한 풍량 및 냉수 온도를 최적화합니다.
  • 고온수/고온 공기 냉방: IT 장비의 허용 온도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기존보다 높은 온도의 냉수나 공기를 사용하여 냉방하는 방식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이는 냉동기의 운전 효율을 높이고 외기 냉방 활용 시간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정밀한 제어 시스템 (BMS/DCIM): 빌딩 관리 시스템(BMS) 및 데이터센터 인프라 관리(DCIM)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다양한 운전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고 냉방 시스템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합니다.
  • 모니터링 및 알림 시스템: 온도, 습도, 압력, 유량, 장비 상태 등 주요 운전 변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상 발생 시 관리자에게 즉시 알림을 제공하여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합니다.
  • 모듈화 및 접근성: 냉각 장치 및 배관 시스템을 모듈화하여 설치 및 확장을 용이하게 하고, 유지보수 작업자가 장비 및 배관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고 점검구를 마련합니다.

4) CFD, BIM 등 디지털 기술이 데이터센터 냉방 계획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 기술의 발전은 데이터센터 냉방 시스템 계획 단계에서부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전산 유체 역학): CFD 시뮬레이션은 데이터센터 내부의 공기 흐름, 온도 분포, 압력 분포 등을 가상으로 모델링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설계 단계에서 핫스팟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CRAC/CRAH 배치, 덕트 및 디퓨저 설계, 핫/냉 복도 격리 효과 등을 시뮬레이션하여 최적의 공조 설계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실제 시스템 구축 전에 다양한 설계 대안을 평가하고 문제점을 미리 파악하여 수정함으로써 재작업을 줄이고 성능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은 건축, 구조, 설비 등 모든 분야의 정보를 3D 모델 기반으로 통합하여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데이터센터 냉방 시스템 설계 시 BIM을 활용하면 배관, 덕트, 장비 등의 물리적인 간섭을 사전에 파악하고 정확한 물량 산출 및 시공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지관리 단계에서 설비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효율적인 자산 관리를 지원합니다.
  • 데이터 분석 및 머신러닝: 운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및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냉방 부하를 예측하고, 장비 성능을 분석하며, 이상 징후를 감지하는 등 시스템 운영을 최적화하고 예지 보전 기능을 강화합니다.
  • 가상 현실 (VR) 및 증강 현실 (AR): 설계된 데이터센터 기계실을 VR을 통해 미리 시각적으로 검토하거나, AR을 활용하여 실제 현장에서 설비 정보를 확인하고 유지보수 작업을 지원하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디지털 기술들은 데이터센터 냉방 시스템을 더욱 과학적이고 정밀하게 설계, 검증 및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고밀도 랙 환경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공조냉동기계기술사 > 136회 기술문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4-5. 1-shell pass(저온유체), 2-tube pass(고온유체) 원통-관(shell-tube) 열교환기에서 질량유량이1 kg/s인 저온유체(비열 4.2 kJ/(kg·℃))의 입구온도(T1)가 20℃, 출구온도(T2)가 50℃이고,질량유량이 2.5 kg/s인 고온유체(비열 3.6 kJ/(kg·℃))의 입구온도(t1)가 75℃일 때, 보정계수 F를다음 그래프에서 찾아 필요한 열교환기 면적(m2)을 구하시오.  (0) 2025.05.19
4-3. 냉동기 및 공조기 데이터 측정 시 발생하는 결측치에 대하여 다음 각 항목을 중심으로설명하시오.1) 결측치 발생 원인 2) 결측치가 성능 분석에 미치는 영향 3) 결측치 처리 방법 분류 4) HVAC 분야에서의 적용 사례  (0) 2025.05.19
4-2. 최근 기계실의 배관 방식은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도입 확대와 자동제어 기술의 발달로 인해 변화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기존 헤더(Header) 방식에서 루프(Loop) 방식으로변경하는 기법이 대두되고 있다. 두 방식에 대하여 개요와 차이점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0) 2025.05.19
4-1. 냉매로 물을 사용하고 흡수제로 리튬브로마이드(LiBr) 수용액을 사용하는 흡수식냉동기에서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의 결정사고가 발생하였다. 그 원인과 대책(해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2025.05.19
3-6. 다음 조건으로 운전되는 LiBr/H2O 1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를 가정하여 성적계수(COP)를 구하시오.  (0) 2025.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