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계설비기술사/129회 기출문제 풀이

2-4. 방음․방진․내진설비 시공 기술기준에 대한 다음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1) 방음설비 시공 기술기준2) 방진설비 중 기계실 배관 및 덕트 시공 기술기준3) 방진설비 중 입상배관 시공 기술기준4) 내진설비 중 장비류 시공 기술기준

onha09 2025. 5. 8. 18:50
반응형

1) 방음설비 시공 기술기준

방음 설비 시공의 핵심은 소음 발생원으로부터 소음이 전달되는 경로를 차단하거나 소음 에너지를 흡수 또는 분산시키는 것입니다. 설비 관련 방음 시공은 주로 기계실, 공조 덕트, 배관 등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제어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소음원 격리: 소음이 큰 장비(펌프, 팬, 압축기 등)는 진동과 함께 소음을 발생시키므로, 방진 패드, 방진 스프링 등 방진 장치를 사용하여 바닥이나 구조체로부터 격리 시공합니다. 이는 고체 전달음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 경로 차단 (흡음 및 차음):
    • 덕트 방음: 덕트 내부 또는 외부에 흡음재(글라스울, 미네랄울 등)를 설치하거나, 소음기(Silencer)를 덕트 중간에 설치하여 덕트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 전달음을 줄입니다. 덕트가 벽체를 관통하는 부위는 틈새 없이 밀실하게 충진하고, 진동 전달을 막기 위해 플렉시블 커넥터 등을 사용합니다.
    • 배관 방음: 배관 지지 방식에 따라 고체 전달음이 구조체로 전달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배관 지지대와 배관 사이에 방진 재료(고무 패드 등)를 삽입합니다. 배관이 벽체나 슬래브를 관통하는 부위도 방음/방진 슬리브를 사용하여 밀실하게 마감합니다.
    • 기계실 방음: 기계실 자체의 벽, 바닥, 천장을 소음 전달이 적은 재료로 마감하거나 추가적인 차음 및 흡음 시공을 통해 실내 소음이 외부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합니다. 방음문, 방음창 등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 틈새 밀폐: 작은 틈새도 소음 전달에 취약하므로, 설비가 벽, 바닥, 천장을 관통하는 모든 부분과 점검구 등은 방음 성능이 확보되도록 틈새 없이 밀실하게 충진하고 마감합니다.

2) 방진설비 중 기계실 배관 및 덕트 시공 기술기준

기계실 내 배관 및 덕트는 장비의 진동이 직접 전달되거나 유체/공기의 흐름에 의해 자체적으로 진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진동이 구조체로 전달되어 소음과 불쾌감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공 기준입니다.

  • 장비 연결부 방진: 진동이 발생하는 장비(펌프, 팬 등)에 연결되는 배관 및 덕트의 초기 구간에는 반드시 유연 이음(Flexible Joint for Piping, Canvas Connector for Duct)을 설치하여 장비의 진동이 배관 및 덕트 라인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합니다.
  • 방진 지지/행거 사용: 장비 연결부 근처의 배관 및 덕트는 일반 지지대나 행거 대신 방진 성능이 있는 방진 지지대(스프링 지지, 고무 지지 등) 또는 방진 행거(스프링 행거, 고무 행거 등)를 사용하여 진동 흡수 능력을 확보합니다. 방진 지지/행거는 적절한 간격으로 설치하며, 진동 전달을 최소화하도록 배치합니다.
  • 구조체 관통부 처리: 배관 및 덕트가 기계실 벽체나 슬래브를 관통하는 부위는 배관/덕트와 구조체 사이에 직접적인 접촉이 없도록 슬리브를 삽입하고, 그 틈새를 실리콘 등의 유연한 방진/방수 재료로 충진하여 마감합니다.
  • 독립 지지: 가능하면 진동원과 연결된 배관 및 덕트 라인은 독립적으로 지지하여, 다른 배관 라인이나 구조체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합니다.

3) 방진설비 중 입상배관 시공 기술기준

입상배관(Vertical Piping, 라이저)은 여러 층을 관통하므로, 하부의 진동원이 발생시키는 진동이나 배관 내 유체 흐름에 의한 진동이 상부 층으로 전달되기 쉽습니다.

  • 슬래브 관통부 방진: 입상배관이 각 층의 슬래브를 관통하는 부위는 반드시 슬리브를 삽입하고, 배관과 슬리브 사이, 슬리브와 슬래브 사이의 틈새를 방진 및 방수 성능이 있는 재료(락울 충진 후 코킹 마감 등)로 밀실하게 충진하여 배관의 진동이 슬래브를 통해 구조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합니다. 배관이 슬리브에 직접 닿지 않도록 간격 유지 링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방진 지지/행거 적용: 입상배관의 하중을 지지하거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특정 층 또는 일정 간격마다 방진 기능이 포함된 지지대(스프링 지지대 등)나 행거를 설치합니다. 이는 배관의 수직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하면서 진동 전달을 최소화합니다.
  • 배관 고정 및 가이드: 입상배관은 열팽창 및 수축에 의한 신축과 진동에 의한 흔들림이 발생하므로, 적절한 간격으로 배관 고정 또는 가이드 지지점을 설치하여 불필요한 움직임을 제어하되, 진동 흡수나 신축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합니다. 완전 고정보다는 적절한 구속을 제공하는 방식이 사용됩니다.

4) 내진설비 중 장비류 시공 기술기준

내진 설비는 지진 발생 시 건축물 내부의 설비 장비(기계, 전기, 소방 등)가 파손되거나 낙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능 유지 및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장비류의 내진 시공은 주로 고정(Anchorage) 및 흔들림 방지(Bracing)에 중점을 둡니다.

  • 장비 고정 (Anchorage):
    • 장비는 기초, 바닥 슬래브, 구조 보 등 구조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합니다.
    • 고정에는 전단력과 인발력에 저항할 수 있는 설계된 앵커볼트, 매립 철물, 용접 등이 사용됩니다. 앵커볼트의 종류, 개수, 깊이, 간격 등은 장비의 하중, 진동 특성, 설치 위치 및 예상 지진 하중을 고려하여 계산된 설계에 따라 시공합니다.
    • 콘크리트 균열 영역 등을 고려한 적절한 앵커 시공 방법이 중요합니다.
  • 흔들림 방지 (Bracing):
    • 천장에 매달리거나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장비(예: 공조기, 배전반 등)는 지진 시 수평 방향 흔들림에 취약합니다.
    • 장비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도록 최소 2개 이상의 흔들림 방지 버팀대(Seismic Brace)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하여 수평 하중에 저항하도록 합니다. 버팀대는 강관, 각관 또는 케이블 등이 사용되며, 버팀대의 각도는 일반적으로 수평면 기준 30도에서 45도, 최대 60도 이내로 설치하여 효율을 높입니다.
    • 버팀대는 장비와 구조체에 모두 견고하게 연결되어야 합니다.
  • 유연 이음 사용: 장비와 연결되는 배관, 덕트, 전기 트레이 등은 지진 시 장비와 구조체의 상대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파손될 수 있으므로, 장비 연결 부위에 유연 이음(Flexible Connector)을 설치하여 이러한 변위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지지 구조 보강: 장비 자체가 아닌 장비를 지지하는 구조물(예: 장비 가대, 행거 시스템) 또한 내진 설계 및 시공 기준에 따라 보강되어야 합니다.
  • 인접 구조물과의 간격 확보: 지진 시 장비가 인접한 벽체나 다른 구조물과 충돌하지 않도록 충분한 이격 거리를 확보하여 설치합니다.

이러한 시공 기준들은 건축물의 안전 및 성능 유지에 직결되므로, 관련 전문 기술자의 책임 하에 설계 및 시공이 이루어져야 하며, 시공 후에는 관련 검사 기준에 따라 철저한 품질 확인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