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계설비기술사/129회 기출문제 풀이

2-2. 급수 부스터펌프 시스템의 아래와 같은 이상 현상의 원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펌프의 기동과 정지가 빈번 2) 토출압력이 급격히 변동 3) 전원은 들어오는데 펌프의 운전이 않됨 4) 펌프의 유량과 양정이 부족함 5) 펌프의 가동 중 소음과 진동이 발생함

onha09 2025. 5. 8. 16:40
반응형

주택의 급수 부스터펌프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아래와 같은 이상 현상들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각 현상별 가능한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펌프의 기동과 정지가 빈번함

  • 압력 유지 실패: 시스템 어딘가에서 물이 새고 있거나 (누수), 압력 탱크(또는 팽창 탱크)의 성능 저하 (내부 공기압 부족, 블래더 손상 등)로 인해 시스템 압력이 조금만 떨어져도 펌프가 즉시 기동하고, 압력이 설정값에 도달하면 바로 정지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 압력 센서/스위치 오작동: 압력을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거나 민감하게 반응하여 설정된 기동/정지 압력 범위 밖에서 불규칙하게 작동할 수 있습니다.
  • 제어반 설정 오류: 펌프의 기동 압력과 정지 압력의 설정 간격이 너무 좁게 되어 있어 작은 압력 변동에도 펌프가 자주 켜지고 꺼집니다.
  • 체크 밸브 불량: 펌프 정지 시 토출 측 배관의 물이 역류하는 것을 막는 체크 밸브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압력이 빠르게 떨어져 펌프가 다시 기동하게 됩니다.
  • 시스템 용량 및 펌프 부적절성: 실제 사용 유량 패턴이나 시스템 용량에 비해 펌프 용량이 너무 크거나, 시스템 구성(배관 길이, 층고 등)에 비해 펌프 선정이 부적절한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토출압력이 급격히 변동함

  • 시스템 부하의 급격한 변화: 여러 수전이 동시에 열리거나 닫히는 등 시스템에서 물 사용량이 급격하게 변할 때 일시적으로 압력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급격히 변동'은 단순 부하 변동 이상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 펌프 운전 불안정 (서징, 캐비테이션, 공기 혼입): 펌프가 불안정한 영역에서 운전되거나 (서징), 캐비테이션이 발생하거나, 배관 내에 공기가 다량 혼입되어 유체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때 토출 압력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 압력 센서 또는 제어 시스템 문제: 압력 센서가 불안정한 신호를 보내거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어반(특히 가변속 제어)의 제어 알고리즘 또는 부품에 문제가 있을 경우 설정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고 압력이 요동칠 수 있습니다.
  • 압력 제어 밸브(있는 경우)의 오작동: 시스템 내 압력을 조절하는 밸브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도 압력 변동의 원인이 됩니다.

3) 전원은 들어오는데 펌프의 운전이 되지 않음

  • 모터 또는 펌프 자체 고장: 모터의 소손, 내부 코일 단선 등 전기적 결함이나, 펌프 내부의 기계적인 고착(베어링 소착, 회전부 걸림 등)으로 인해 모터가 회전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 전기 회로 문제:
    • 펌프를 보호하기 위한 과부하 계전기(Overload Relay)가 트립된 경우.
    • 펌프 구동 회로의 퓨즈가 단선되었거나 차단기가 트립된 경우.
    • 제어반 내부의 마그네틱 컨택터(MC) 불량 또는 제어 회로의 배선 오류나 부품 손상.
    • 전원 공급 자체의 문제 (결상 등).
  • 안전 장치 작동: 저수위 감지 스위치 등 펌프 보호를 위한 안전 장치가 작동하여 펌프 운전을 차단한 경우입니다.
  • 기동 콘덴서 불량 (단상 모터의 경우): 모터 기동에 필요한 콘덴서가 불량일 경우 모터가 기동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4) 펌프의 유량과 양정이 부족함

  • 흡입 측 문제:
    • 펌프 흡입 배관이나 스트레이너(여과기)가 이물질로 막힌 경우.
    • 저수조 수위가 너무 낮아 펌프가 충분한 물을 흡입하지 못하는 경우 (흡입 수두 부족).
    • 흡입 배관에서 공기가 새어 들어가는 경우.
    • 흡입 배관 구경이 너무 작거나 길이가 너무 길어 마찰 손실이 큰 경우.
  • 펌프 내부 문제:
    • 펌프의 핵심 부품인 임펠러가 마모되거나 손상되어 물을 효율적으로 밀어내지 못하는 경우.
    • 펌프 케이싱 내부가 마모되어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 토출 측/시스템 문제:
    • 토출 배관의 구경이 너무 작거나 길이가 너무 길어 마찰 손실이 과다한 경우.
    • 토출 배관 중간의 밸브가 완전히 열리지 않았거나, 이음쇠, 필터 등이 막힌 경우.
    • 시스템 자체에서 물이 많이 새고 있는 경우 (과다 누수).
  • 펌프 회전 방향 오류: 삼상 모터의 결선이 잘못되어 펌프가 역회전하는 경우 (드물지만 발생 가능).
  • 펌프 회전수 부족: 모터 자체의 문제나 전원 공급의 문제(전압/주파수 이상, 가변속 제어 오류 등)로 인해 펌프의 회전수가 설계치보다 낮은 경우.
  • 펌프 선정 오류: 처음부터 시스템에 필요한 최대 유량 및 양정보다 낮은 용량의 펌프가 선정된 경우.

5) 펌프의 가동 중 소음과 진동이 발생함

  • 캐비테이션: 펌프 내부에서 기포가 발생하고 터지는 소리(자갈 갈리는 소리 등)와 함께 진동이 발생합니다. 흡입 조건 불량(흡입 수두 부족, 흡입 배관 막힘 등)이 주 원인입니다.
  • 축 정렬 불량: 펌프와 모터의 회전축이 정확하게 일직선으로 정렬되지 않아 회전 시 진동과 소음이 발생합니다.
  • 베어링 손상/마모: 펌프 또는 모터의 베어링이 손상되거나 마모되면 회전 시 비정상적인 소음과 진동이 발생합니다.
  • 임펠러 문제: 임펠러가 파손되었거나 이물질이 걸려 회전 시 불균형이 발생하여 진동과 소음이 커집니다.
  • 배관 지지 불량: 배관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았거나 펌프 진동 전달을 막는 방진 장치가 미흡할 경우, 펌프의 진동이 배관으로 전달되어 배관 자체가 떨리면서 소음을 발생시킵니다.
  • 수격 작용: 펌프 기동/정지 시 또는 밸브 개폐 시 발생하는 압력 충격파가 배관을 때리면서 큰 소음과 진동을 유발합니다.
  • 설치 기초 불량: 펌프가 설치된 기초가 불안정하거나 설계 기준에 미달할 경우 펌프 운전 시 진동이 커집니다.
  • 시스템 내 공기 혼입: 배관 내에 공기가 섞여 유동 시 소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흡입/토출 유속 과다: 배관 구경에 비해 유속이 너무 빠를 경우 유동 소음이 커질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