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계설비기술사/129회 기출문제 풀이

1-7. 주택건설공사 감리업무 중 환경관리 업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onha09 2025. 5. 8. 14:34
반응형

주택건설공사 감리업무에서 환경관리 업무는 공사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다양한 환경 문제를 예방하고 관리하여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쾌적한 주거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택건설공사 감리업무 세부기준」 및 관련 법령에 따라 감리원이 수행하는 주요 환경관리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환경 관련 계획 검토 및 확인:
    • 시공자가 제출한 공사 계획(착공 신고 시 제출하는 건설폐자재 재활용 및 처리 계획서 등 환경 관련 내용 포함)이 관련 법규 및 설계도서에 적합하게 수립되었는지 검토합니다.
    • 수립된 환경관리 계획이 현장에서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기술 지도합니다.
  2. 환경오염 방지시설 설치 및 운영 확인:
    • 공사 중 발생하는 비산먼지, 소음, 진동, 수질오염 등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세륜시설, 살수시설, 방진벽, 방음벽, 오폐수 처리시설 등의 환경오염 방지시설이 관련 법규 및 기준에 맞게 설치되고 적정하게 운영되는지 확인합니다.
  3. 비산먼지, 소음, 진동 관리:
    • 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 발생 억제 조치(살수, 방진망/막 설치 등)가 제대로 이루어지는지 확인하고 관리합니다.
    • 공사 소음 및 진동이 「소음·진동관리법」 등 관련 법규에서 정하는 기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시공자의 작업 계획 및 방음/방진 대책을 검토하고 이행 여부를 확인합니다.
    • 인근 주민 등으로부터 소음, 진동, 먼지 등에 대한 민원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공자를 지도하고 필요한 경우 대책 마련을 확인합니다.
  4. 폐기물 관리:
    • 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이 종류별, 성상별로 분리하여 수집·보관되고 적법한 절차에 따라 재활용되거나 처리되는지 확인합니다.
    • 건설폐자재 재활용 및 처리 계획서대로 이행되는지 점검하고 관련 서류를 확인합니다.
  5. 수질오염 관리:
    • 공사 중 발생하는 오폐수나 우수가 외부로 유출되어 하천, 토양 등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가배수로, 침사지, 오폐수 처리시설 등의 설치 및 관리가 적절히 이루어지는지 확인합니다.
  6. 주변 환경 보호:
    • 공사로 인해 주변의 자연환경(수목, 녹지 등)이 훼손되지 않도록 보호 대책을 확인하고 시공자를 지도합니다.
    • 공사 완료 후에는 주변의 환경 정리 및 원상 복구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합니다.

감리원은 이러한 환경관리 업무를 통해 시공자가 환경 관련 법규를 준수하고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며 공사를 진행하도록 지도 및 확인 감독함으로써, 건설공사가 환경적으로 건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