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계설비기술사/132회 기출문제 풀이

3-3. 사무실 환기설비에서 실내오염물질의 종류별 오염농도의 제한 값, 최소 환기량,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onha09 2025. 4. 24. 21:15
반응형

사무실 환기설비와 관련하여 실내오염물질의 농도 기준, 최소 환기량, 그리고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이는 주로 대한민국의 「실내공기질 관리법」「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근거합니다.

 

1. 실내오염물질 종류별 오염농도 제한 값 (유지기준 및 권고기준)

「실내공기질 관리법」에서는 다중이용시설(사무실 포함)의 실내공기질을 적정하게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해 오염물질별로 유지기준(반드시 지켜야 하는 기준)과 권고기준(지키도록 노력해야 하는 기준)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사무실에 적용되는 주요 오염물질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치는 변경될 수 있으므로 최신 법규 확인이 필요합니다.)

구분 오염물질 기준치 비고
유지기준 미세먼지 (PM10) 100 이하 -
  이산화탄소 (CO2) 1,000 이하 -
권고기준 초미세먼지 (PM2.5) 50 이하 -
  폼알데하이드 (HCHO) 100 이하 -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500 이하 신축 공동주택은 400 이하
  일산화탄소 (CO) 10 이하 -
  이산화질소 (NO2) 0.05 이하 -
  오존 (O3) 0.06 이하 -
  라돈 (Rn) 148 이하 -
  총부유세균 800 이하 -
  • 유지기준: 이 기준을 초과하면 과태료 부과 등 행정 조치가 있을 수 있습니다. PM10과 CO2는 대표적인 유지기준 항목입니다.
  • 권고기준: 법적 강제성은 없으나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을 위해 준수하도록 권고하는 기준입니다.

2. 최소 환기량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서는 실내 공기질 유지를 위해 필요한 최소 환기량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사무실과 같은 일반 업무시설의 경우, 일반적으로 시간당 실내 인원 1인당 36 세제곱미터 () 이상의 신선한 외기를 공급하도록 요구합니다.

  • 계산 근거: 이 환기량은 실내에서 발생하는 CO2 농도를 일정 수준(예: 1000 ppm) 이하로 유지하고, 다른 오염물질을 희석하며, 재실자에게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기준으로 설정됩니다.
  • 환기 방식: 자연환기 또는 기계환기 설비를 통해 이 기준을 만족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현대식 사무실 건물은 기계환기 설비(공조기, 전열교환기 등)를 통해 환기량을 확보합니다.

3. 제어 방법

사무실 환기설비는 실내 공기질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됩니다.

  • 수동 제어: 가장 기본적인 방식으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환기 팬이나 창문을 직접 켜고 끄거나 개폐하는 방식입니다.
  • 타이머 제어: 설정된 스케줄(예: 업무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환기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식입니다. 업무 시작 전에 환기를 시작하고 종료 후에 멈추는 식으로 운영될 수 있습니다.
  • 센서 기반 자동 제어 (수요 제어 환기, Demand Control Ventilation - DCV):
    • CO2 센서: 실내 CO2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설정된 기준치(예: 800~1000 ppm)를 초과하면 환기량을 자동으로 늘리고, 기준치 이하로 내려가면 환기량을 줄이거나 중단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입니다.
    • 재실 감지 센서: 인체 감지 센서 등을 이용하여 실내에 사람이 있을 때만 환기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식입니다.
    • 오염물질 센서 (VOCs, PM 등): 특정 오염물질(휘발성유기화합물, 미세먼지 등)의 농도를 감지하여 필요에 따라 환기량을 조절하는 방식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 빌딩 자동 관리 시스템 (BMS, Building Management System) 연동: 대형 건물의 경우, 환기 설비가 냉난방, 조명 등 다른 설비와 함께 BMS에 통합되어 중앙에서 효율적으로 감시 및 제어됩니다. BMS는 실내외 환경 조건, 에너지 요금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환기 운전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 가변풍량(VAV) 시스템 연동: 각 구역(Zone)별 부하 또는 필요 환기량에 따라 공기 공급량을 조절하는 VAV 시스템과 연동하여 환기량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요약:

사무실의 쾌적하고 건강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법적 기준에 맞는 환기 설비의 설치 및 운영이 중요합니다. 실내 주요 오염물질 농도를 법적 기준치 이하로 관리하고, 인원수 대비 충분한 최소 환기량을 확보해야 합니다. 또한,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최적의 실내 공기질을 유지하기 위해 CO2 센서 등을 활용한 자동 제어 방식이나 BMS 연동 등의 지능적인 제어 방법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