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계설비기술사/132회 기출문제 풀이

1-10. 바이패스 팩터(BF : By-pass Factor)를 구하는 방법 3가지를 습공기선도에 나타내고,계산식을 각각 적으시오.

onha09 2025. 4. 23. 18:24
반응형

바이패스 팩터(BF)는 공기가 코일을 통과할 때, 코일과 실제 접촉하지 않고 바이패스되는 공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냉각 코일이나 가열 코일의 성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며, 습공기선도 상에서 여러 방법으로 나타내고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습공기선도에 나타낸 바이패스 팩터를 구하는 방법 3가지와 각 계산식입니다.

 

1. 온도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

  • 습공기선도: 코일의 입구 공기 상태(1), 코일을 통과한 후의 공기 상태(2), 그리고 코일 표면 온도 또는 유효 코일 온도(Surface Temperature 또는 Apparatus Dew Point, )를 습공기선도 상에 표시합니다. 점 1과 점 2를 연결한 선을 코일 표면 온도()에서 만나는 점을 확인합니다.
  • 계산식: 바이패스 팩터(BF)는 입구 공기와 코일 표면 온도 차이에 대한 출구 공기와 코일 표면 온도 차이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  여기서,
    • : 코일 입구 공기 온도 (건구 온도)
    • : 코일 출구 공기 온도 (건구 온도)
    • : 코일 표면 온도 또는 유효 코일 온도 (건구 온도)

2. 엔탈피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

  • 습공기선도: 코일의 입구 공기 상태(1), 코일을 통과한 후의 공기 상태(2), 그리고 코일 표면 상태(s)를 습공기선도 상에 표시합니다. 각 점의 엔탈피() 값을 읽습니다.
  • 계산식: 바이패스 팩터(BF)는 입구 공기와 코일 표면 상태의 엔탈피 차이에 대한 출구 공기와 코일 표면 상태의 엔탈피 차이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  여기서,
    • : 코일 입구 공기 엔탈피
    • : 코일 출구 공기 엔탈피
    • : 코일 표면 상태의 엔탈피 (코일 표면 온도에서의 포화 공기 엔탈피로 가정)

3. 습도비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

  • 습공기선도: 코일의 입구 공기 상태(1), 코일을 통과한 후의 공기 상태(2), 그리고 코일 표면 상태(s)를 습공기선도 상에 표시합니다. 각 점의 습도비() 값을 읽습니다.
  • 계산식: 바이패스 팩터(BF)는 입구 공기와 코일 표면 상태의 습도비 차이에 대한 출구 공기와 코일 표면 상태의 습도비 차이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  여기서,
    • : 코일 입구 공기 습도비
    • : 코일 출구 공기 습도비
    • : 코일 표면 상태의 습도비 (코일 표면 온도에서의 포화 공기 습도비로 가정)

습공기선도 상에서의 표현:

위의 세 가지 방법 모두 습공기선도 상에서 입구 상태(1)에서 코일 표면 상태(s)를 향하는 직선 위에 출구 상태(2)가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바이패스 팩터는 선분 1-s에 대한 선분 2-s의 길이 비율로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바이패스 팩터가 작을수록 출구 공기 상태가 코일 표면 상태에 더 가까워지므로 코일의 성능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