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압축기 토출 압력이 지나치게 높을 때의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흡입 압력 과다:
- 압축기로 들어오는 흡입 압력이 정상보다 높으면, 압축 과정에서 토출되는 압력 또한 상승하게 됩니다. 이는 흡입 라인의 문제, 이전 단계 장치의 이상, 또는 시스템 요구 조건 변화 등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압축비 과다:
- 압축비는 토출 압력을 흡입 압력으로 나눈 값입니다. 필요한 토출 압력은 그대로인데 흡입 압력이 낮아지거나, 시스템의 요구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압축비가 커져 토출 압력이 상승합니다.
3. 토출 라인 막힘 또는 제한:
-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배관이나 밸브 등에 막힘이나 심한 저항이 발생하면, 압축된 유체가 원활하게 빠져나가지 못하고 압축기 출구 쪽에 압력이 축적되어 토출 압력이 높아집니다.
4. 토출 밸브 불량:
- 압축기의 토출 밸브가 완전히 열리지 않거나, 이물질 등으로 인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여 토출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5. 냉매 과충전 (냉동/공조 시스템):
- 냉동 또는 공조 시스템에서 냉매가 과도하게 충전되면, 압축 과정에서 압력이 지나치게 상승하여 토출 압력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6. 시스템 내 비응축성 가스 혼입 (냉동/공조 시스템):
- 냉동 시스템 내에 공기나 기타 비응축성 가스가 혼입되면, 전체적인 시스템 압력을 상승시켜 압축기의 토출 압력 또한 높아지게 됩니다.
7. 냉각 불량:
- 일부 압축기의 경우, 압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적절히 냉각시켜야 합니다. 냉각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여 냉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압축 효율이 떨어지고 토출 압력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8. 압축기 내부 부품 손상:
- 압축기 내부의 피스톤, 밸브, 실린더 등 부품이 마모되거나 손상되면 압축 효율이 저하되고 토출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질 수 있습니다.
9. 운전 조건 오류:
- 압축기의 설계 운전 범위를 벗어나 과도한 속도로 운전하거나, 시스템의 요구 조건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압축기를 작동시키는 경우 토출 압력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인들을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압축기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공조냉동기계기술사 > 133회 기출문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공조방식 중 저온공조시스템의 장점과 주요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기술하시오. (0) | 2025.03.18 |
---|---|
1-6. 보일러의 안전장치 종류를 구분하고 각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 2025.03.18 |
1-4. 제백효과(Seebeck Effect)와 펠티어효과(Peltier Effect)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 2025.03.17 |
1-3. 농산물의 저온 저장 중 발생되는 장해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 2025.03.17 |
1-2. 중간냉각이 완전한 2단압축 2단팽창 냉동장치에 대하여 P-h선도를 작도하고, 냉동장치의 냉동효과 q(kJ/kg)를 구하는 계산식을 유도하시오.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