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16

1-7. 보일러의 폭발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안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보일러는 내부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물을 증기로 만들거나 고온수를 생산하는 장치로, 높은 압력과 온도를 다루기 때문에 안전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내부 압력이 설계 기준을 초과하거나 수위가 낮아 과열될 경우 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안전장치가 설치됩니다. 보일러의 폭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하는 주요 안전장치는 다음과 같습니다.압력 방출 장치 (안전 밸브, Safety Valve)기능: 보일러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최고 사용 압력을 초과하여 위험 수준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열려 증기나 고온수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보일러의 과압을 해소하고 파손 및 폭발을 방지하는 최후의 안전 장치입니다.작동 원리: 보일러 내부 압력이 안전 밸브 스프링의 설정 압력보다 높아지면 밸브가 밀려 ..

1-6. 국제단위계(System International Unit)에서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1) 기본단위 및 보조단위2) 유도단위 ① 힘(Force) ② 압력(Pressure) ③ 일(Work) ④ 동력(Power)

국제단위계(Systeme International d'Unites, SI)는 전 세계적으로 통일하여 사용하는 측정 단위 체계입니다. SI 단위는 기본 단위, 유도 단위로 구성됩니다. 과거에는 보조 단위라는 분류도 있었으나, 현재는 유도 단위에 포함되어 관리되고 있습니다.1) 기본단위 및 보조단위기본단위 (Base Units): 국제단위계를 구성하는 가장 기초가 되는 단위로, 물리량의 차원을 독립적으로 나타냅니다. 현재 7개의 기본단위가 있습니다. 각 단위는 물리적인 상수를 기반으로 정의됩니다.길이: 미터 (meter, m)질량: 킬로그램 (kilogram, kg)시간: 초 (second, s)전류: 암페어 (ampere, A)열역학적 온도: 켈빈 (Kelvin, K)물질량: 몰 (mole, mol)광도:..

1-5. 건설사업관리방식에서 용역형 사업관리(CM for Fee)와 위험성 사업관리(CM at Risk)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CM) 방식은 발주자의 성공적인 프로젝트 완수를 지원하기 위해 전문적인 관리 기법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계약 및 책임 범위에 따라 크게 용역형 사업관리(CM for Fee)와 위험성 사업관리(CM at Risk)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용역형 사업관리 (CM for Fee)개념: 용역형 사업관리는 CM 사업자가 발주자의 **대리인(Agent)**으로서 건설사업 전반에 대한 전문적인 관리 및 기술 자문 용역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사전에 정해진 **용역 수수료(Fee)**를 지급받는 방식입니다. CM 사업자는 설계자나 시공자와 직접적인 계약 관계를 맺지 않으며, 프로젝트의 공사비, 공기, 품질 등에 대한 궁극적인 책임은 발주자에게 있습니다.C..

1-4. 급수로부터 소요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의 증발률과 효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증발률 (Evaporation Rate)정의: 보일러의 증발률은 보일러가 단위 시간당 생산하는 증기의 양을 나타냅니다. 즉, 시간당 몇 킬로그램 또는 몇 톤의 증기를 생산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보일러의 용량 지표입니다.표시: 주로 kg/h (시간당 킬로그램) 또는 T/h (시간당 톤) 단위로 표시됩니다. 대형 산업용 보일러의 경우 T/h 단위를 주로 사용합니다.실제 증발량과 상당 증발량:실제 증발량 (Actual Evaporation Rate): 특정 운전 조건(급수 온도, 발생 증기 압력 및 온도)에서 보일러가 실제로 생산하는 증기의 양입니다.상당 증발량 (Equivalent Evaporation Rate): 보일러의 증발 능력을 비교하기 위한 표준 상태에서의 증발량입니다. 표준 상태란 대기압(..

1-3. Network 공정표의 장, 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네트워크 공정표(Network Schedule)는 프로젝트의 여러 작업과 그 작업들 간의 상호 관계를 노드(Node)와 화살표(Arrow)를 이용하여 그림으로 표현하는 공정 관리 기법입니다. 주로 CPM(Critical Path Method)이나 PERT(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기법에서 활용됩니다.네트워크 공정표의 장점과 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장점프로젝트 전체의 명확한 파악 및 이해 용이: 프로젝트의 모든 작업과 작업 간의 선후 관계가 그림으로 시각화되어 있어 프로젝트 전체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하기 쉽습니다. 프로젝트 참여자들 간의 이해를 높이고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합니다.주요 공정선(Critical Path) 파악: 프로젝트 완료일에 가장 큰 영향을 ..

1-2. 배수설비 설계 계획 시 다음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1) 배수 수평관의 기울기 2) 소재구의 설치장소

배수설비는 건물에서 발생하는 오수 및 잡배수를 위생적으로 건물 외부로 배출하는 중요한 설비입니다. 배수설비 설계 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소들이 있으며, 그중 배수 수평관의 기울기와 소재구의 설치 장소는 원활한 배수와 유지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다음은 배수설비 설계 계획 시 배수 수평관의 기울기와 소재구의 설치 장소에 대한 설명입니다. 1) 배수 수평관의 기울기정의: 배수 수평관은 위생기구에서 발생한 오수나 잡배수를 수직관이나 배수 수평 주관으로 이송하는 관으로, 물이 자연스럽게 흘러갈 수 있도록 일정한 경사(기울기)를 가져야 합니다.필요성: 적절한 기울기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필요합니다.원활한 배수: 중력에 의해 배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합니다.오물 침전 방지: 배수 시 물의 속도가 충분하여 ..

1-1.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주택단지의 비상급수시설에서 지하양수시설과 지하저수조가확보해야 할 비상급수양과 펌프의 설치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주택단지의 비상급수시설에 대한 지하양수시설과 지하저수조의 비상급수량 확보 기준 및 펌프 설치 기준은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35조에 규정되어 있습니다.다음은 해당 규정에 따른 비상급수량 및 펌프 설치 기준입니다. 1. 비상급수량 확보 기준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주택단지에는 「먹는물관리법」 제5조에 따른 먹는 물의 수질기준에 적합한 비상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지하양수시설 또는 지하저수조 시설을 설치해야 합니다. 이때 확보해야 할 비상급수량은 다음과 같습니다.지하양수시설:1일에 해당 주택단지의 매 세대당 0.2톤 (다만, 시·군 지역은 0.1톤) 이상의 수량을 양수할 수 있어야 합니다.이와 함께 해당 양수시설에는 매 세대당 0.3톤 이상을 저수할 수 있는 지하저수조를 함께 설치해야..

4-6. 브라인 입구 및 출구 온도가 각각 –6℃와 –10℃, 냉매 증발온도가 –15℃인 브라인냉각기(brine cooler)가 있다. 브라인 유량 및 밀도가 각각 0.3 m3/min과 1180 kg/m3이고 브라인의 비열은 3.19 kJ/kg∙℃이다. 열통과율이 465 W/m2∙℃일 때 다음 물음에답하시오. (단, 1 RT는 13877 kJ/h로 한다.)

주어진 조건:브라인 입구 온도: -6 °C브라인 출구 온도: -10 °C냉매 증발 온도: -15 °C브라인 유량: 0.3 m³/min브라인 밀도: 1180 kg/m³브라인 비열: 3.19 kJ/kg·°C열관류율: 465 W/m²·°C1 RT = 13877 kJ/h(1) 이 브라인 냉각기의 냉동능력(RT)을 구하시오.냉동능력은 브라인이 냉각되면서 제거되는 열량과 같습니다. 먼저 브라인의 질량 유량을 계산합니다.브라인 질량 유량(m˙) = 브라인 유량 × 브라인 밀도이를 초당 질량 유량으로 변환합니다.브라인이 제거하는 열량(Q)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여기서 cp​는 브라인의 비열, ΔT는 브라인의 온도 변화량입니다.Q = 5.9 (kg/s) × 3.19 (kJ/kg·°C) × 4 (°C) = 75.324..

4-5. 냉동냉장 및 저온물류 창고의 냉장부하 계산방법 중 저온저장고내에서 발생하는 열의종류 및 각각 부하(열량) 계산식을 설명하시오.

저온저장고의 냉장부하(Refrigeration Load) 계산은 저장고의 설계 및 적절한 냉동설비 용량 선정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저장고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제거해야 하는 열량을 계산하는 과정이며, 이 열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주요 열의 종류와 각각의 부하(열량)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외기 침입 부하 (Transmission Load)발생 원인: 저장고 외부와 내부의 온도 차이로 인해 벽체, 천장, 바닥의 단열재를 통해 외부에서 내부로 전달되는 열입니다. 단열 성능(열관류율), 온도차, 표면적에 비례하여 발생합니다.계산식: QT​=U⋅A⋅ΔTQT​: 외기 침입 부하 (kcal/h)U: 구조체의 열관류율 (kcal/m²·h·℃). 단열재의 종류, 두께, 구조체의 구성에..

4-4.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법정냉동톤 관련 다음을 쓰시오.(1) 원심식 압축기와 흡수식 냉동설비의 법정냉동능력 1톤 기준(2) 규정하지 않은 냉매가스에 대한 냉매상수 C값을 구하는 방법(3) 냉동능력을 합산하는 기준

(1) 원심식 압축기와 흡수식 냉동설비의 법정냉동능력 1톤 기준원심식 압축기를 사용하는 냉동설비: 그 압축기의 원동기 정격출력 1.2 kW를 1일의 냉동능력 1톤으로 봅니다.흡수식 냉동설비: 발생기를 가열하는 1시간의 입열량 6,640 kcal를 1일의 냉동능력 1톤으로 봅니다.그 밖의 냉동설비는 다음 산식에 따릅니다. R=V/C(2) 규정하지 않은 냉매가스에 대한 냉매상수 C값을 구하는 방법「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3에 규정되지 않은 냉매가스의 C값은 다음 계산식에 따릅니다.C=(iA−iB)⋅ηv3320⋅VA​여기서, VA,iA,iB 및 ηv는 각각 다음의 수치를 나타냅니다.VA: 해당 냉매가스의 대기압 1기압, 0℃에서의 비체적 (단위: m3/kg)iA: 증발온도 -15℃, 건포화증기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