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술사/133회 기출문제 풀이

2-5. 수소에너지(Hydrogen Energy)와 관련하여 그레이수소(Gray Hydrogen), 블루수소(BlueHydrogen), 그린수소(Green Hydrogen)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onha09 2025. 3. 21. 15:52
반응형

수소 에너지는 연소 시 물만 배출하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생산 방식에 따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다릅니다.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 여부에 따라 그레이수소, 블루수소, 그린수소로 분류됩니다.

 

1) 그레이수소 (Gray Hydrogen)

  • 정의: 그레이수소는 화석 연료(천연가스, 석탄 등)를 사용하여 생산되는 수소입니다.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거나 저장하지 않고 대기 중으로 배출합니다.
  • 생산 방식: 주로 천연가스 개질(Steam Methane Reforming, SMR) 방식이 사용됩니다. 고온에서 수증기와 천연가스를 반응시켜 수소를 생산하며, 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CO₂)가 부산물로 발생합니다. 석탄 가스화 방식을 통해서도 생산될 수 있습니다.
  • 환경 영향: 현재 생산되는 대부분의 수소가 그레이수소이며, 생산 과정에서 상당량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여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진정한 의미의 친환경 수소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 특징: 생산 기술이 성숙되어 있고 생산 비용이 비교적 저렴합니다.

2) 블루수소 (Blue Hydrogen)

  • 정의: 블루수소는 그레이수소와 마찬가지로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생산되지만,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저장(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하는 기술을 적용한 수소입니다.
  • 생산 방식: 천연가스 개질(SMR) 방식이나 자기 열 개질(Autothermal Reforming, ATR) 방식 등을 사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며,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지하 깊은 곳이나 해저에 저장하거나 다른 산업 공정에 활용합니다.
  • 환경 영향: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을 통해 탄소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CCS 기술의 완전한 상용화 및 안전성 확보, 그리고 포집되지 않는 일부 탄소 배출 문제 등이 남아있습니다. 또한, 여전히 화석 연료를 기반으로 생산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 특징: 그레이수소보다는 친환경적이며, 그린수소로 전환되기 전의 과도기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생산 비용은 그레이수소보다 높지만 그린수소보다는 저렴한 편입니다.

3) 그린수소 (Green Hydrogen)

  • 정의: 그린수소는 태양광, 풍력, 수력 등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을 사용하여 물을 전기분해(Electrolysis) 하여 얻는 수소입니다.
  • 생산 방식: 물 분자(H₂O)에 전기를 흘려보내 수소(H₂)와 산소(O₂)로 분리하는 전기분해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전력이 재생에너지원에서 공급되므로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이 거의 없습니다.
  • 환경 영향: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이 거의 없어 가장 친환경적인 수소 생산 방식으로 평가받습니다. 진정한 의미의 청정 에너지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특징: 생산 과정에서 물과 재생에너지 외에는 다른 자원이 필요하지 않으며, 탄소 배출이 없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의 핵심 요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변동성, 높은 생산 비용, 수전해 설비 구축 비용 등의 과제가 남아있습니다.

요약 비교:

구분 생산 방식 탄소 배출 환경 영향 특징
그레이수소 화석 연료 개질 (주로 천연가스) 높음 지구 온난화 유발 생산 기술 성숙, 비용 저렴, 현재 대부분의 수소 생산 방식
블루수소 화석 연료 개질 + 탄소 포집/저장 낮음 탄소 배출량 감소 효과 그레이수소보다 친환경적, 그린수소 이전 과도기 역할 가능, 비용은 중간 수준
그린수소 재생에너지 기반 물 전기분해 거의 없음 가장 친환경적, 지속 가능성 높음 탄소 배출 제로에 가까움, 재생에너지 변동성 및 높은 생산 비용 등의 과제 존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