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술사/134회 기출문제 풀이

3-4. 열전현상에 대하여 다음을 각각 설명하시오. 1) 제백효과(Seebeck Effect) 2) 펠티에효과(Peltier Effect) 3) 톰슨효과(Thomson Effect)

onha09 2025. 3. 13. 13:46
반응형

열전현상은 열에너지와 전기 에너지 간의 직접적인 상호 변환 현상을 총칭하는 용어입니다. 19세기 초에 주로 발견된 현상들로, 열역학 및 고체 물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현대 기술에도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습니다. 

1) 제백 효과 (Seebeck Effect)

정의:

제백 효과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이나 반도체를 접합하여 폐회로를 구성하고, 두 접점 사이에 온도차를 가했을 때, 회로 내에 기전력 (전압) 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1821년 독일의 물리학자 토마스 요한 제벡(Thomas Johann Seebeck)이 발견했습니다.

 

원리 및 메커니즘:

  • 에너지 준위 차이: 서로 다른 물질은 자유 전자 또는 정공과 같은 전하 운반자의 에너지 준위가 다릅니다. 온도차이가 가해지면, 고온부의 전하 운반자들이 에너지를 더 많이 받아 활발하게 움직이게 됩니다.
  • 확산 및 전위차 발생: 고온부의 활발한 전하 운반자들이 저온부로 확산하려는 경향이 나타납니다. 이 확산 과정에서 각 물질 내에서 전하 운반자의 농도 기울기가 형성되고, 물질 고유의 에너지 준위 차이와 결합하여 각 접점에서 전기적인 전위차가 발생합니다.
  • 기전력 발생: 폐회로 내 두 접점에서의 전위차의 합이 0이 되지 않고, 순 기전력이 발생하여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습니다. 이 기전력의 크기는 두 접점 사이의 온도차에 비례합니다.

수식적 표현 (근사):

제백 효과에 의한 기전력 (ΔV) 은 두 접점의 온도차 (ΔT) 에 비례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ΔV = S_AB ΔT

  • ΔV: 발생한 기전력 (볼트, V)
  • S_AB: 제백 계수 (Seebeck Coefficient) [볼트/켈빈, V/K]. 물질 A와 B의 조합에 따라 결정되는 값이며, 온도에 따라 약간 변할 수 있습니다. 제백 계수의 부호는 전압의 방향을 나타냅니다.
  • ΔT: 두 접점 사이의 온도차 (켈빈, K 또는 섭씨, °C)

응용 분야:

  • 열전대 (Thermocouple): 제백 효과의 가장 대표적인 응용으로, 두 금속선의 접점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입니다. 발생하는 기전력을 측정하여 온도차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넓은 온도 범위에서 사용 가능하고 내구성이 뛰어나 산업 현장, 과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 열전 발전 (Thermoelectric Generator, TEG): 제백 효과를 이용하여 열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산업 폐열, 자동차 배기가스, 태양열, 인체열 등 다양한 열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아직 효율이 높지는 않지만, 소규모 전력 생산, 오지 전력 공급, 센서 전원 공급 등 특정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습니다.

2) 펠티에 효과 (Peltier Effect)

정의:

펠티에 효과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이나 반도체의 접점에 전류 를 흘려주면, 접점에서 열의 흡수 또는 방출이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1834년 프랑스의 시계 제작자이자 물리학자인 장 샤를 아타나즈 펠티에 (Jean-Charles Athanase Peltier)가 발견했습니다.

 

원리 및 메커니즘:

  • 에너지 밴드 구조 차이: 서로 다른 물질은 에너지 밴드 구조, 특히 페르미 준위가 다릅니다. 전류가 접점을 통과할 때, 전하 운반자들이 한 물질에서 다른 물질로 이동하면서 에너지 준위 차이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방출하게 됩니다.
  • 열의 이동 (흡열 또는 발열):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접점에서 열이 흡수되어 온도가 낮아지거나 (냉각 효과), 열이 방출되어 온도가 높아지는 (가열 효과) 현상이 나타납니다.
  • 가역적인 효과: 펠티에 효과는 전류의 방향을 바꾸면 열 흡수와 방출 방향도 바뀌는 가역적인 현상입니다.

수식적 표현 (근사):

펠티에 효과에 의해 접점에서 흡수 또는 방출되는 열량 (Q<sub>p</sub>) 은 전류 (I) 에 비례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Q_p = Π_AB  I

  • Q_p: 접점에서 흡수 또는 방출되는 열량 (와트, W)
  • Π_AB: 펠티에 계수 (Peltier Coefficient) [볼트, V]. 물질 A와 B의 조합에 따라 결정되는 값이며, 온도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펠티에 계수의 부호는 전류 방향에 따른 열 흡수/방출 방향을 나타냅니다.
  • I: 접점에 흐르는 전류 (암페어, A)

응용 분야:

  • 열전 냉각 (Thermoelectric Cooling): 펠티에 효과를 이용하여 냉각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입니다. 반도체 펠티에 소자를 이용하여 전류를 흘려주면, 한쪽 접점에서는 열을 흡수하여 냉각이 일어나고, 반대쪽 접점에서는 열을 방출하여 발열이 일어납니다. 냉매가 필요 없고 소형화, 정밀 온도 제어가 가능하며, 진동과 소음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응용 예시: 소형 냉장고, 휴대용 냉온장치, 전자 장비 냉각, 의료 기기 온도 제어, 과학 실험 장비 온도 제어 등
  • 열전 히트펌프 (Thermoelectric Heat Pump): 펠티에 효과를 이용하여 냉방 및 난방 기능을 모두 구현하는 장치입니다. 전류 방향을 바꾸면 냉각 모드와 가열 모드를 전환할 수 있습니다. 아직 일반적인 히트펌프에 비해 효율이 낮지만, 소형화, 정밀 제어, 친환경성 등의 장점을 활용하여 특정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3) 톰슨 효과 (Thomson Effect)

정의:

톰슨 효과는 단일 종류의 도체 내에 온도 기울기가 존재하고 전류가 흐를 때, 도체 내에서 열의 흡수 또는 방출이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1851년 윌리엄 톰슨 (훗날 켈빈 경으로 서임) 이 이론적으로 예측하고 실험적으로 증명했습니다.

 

원리 및 메커니즘:

  • 전하 운반자 에너지 분포 불균일: 도체 내에 온도 기울기가 존재하면, 고온부와 저온부의 전하 운반자들의 평균 에너지 (운동 에너지) 가 달라집니다.
  • 에너지 수송 과정의 불균형: 전류가 흐르면, 전하 운반자들이 이동하면서 에너지를 운반하는데, 온도 기울기로 인해 에너지 수송 과정에서 불균형이 발생합니다.
  • 열 흡수 또는 방출: 전류의 방향과 온도 기울기의 방향 관계에 따라 도체 내에서 열의 흡수 또는 방출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도체의 고온부에서 저온부로 전류가 흐르면, 전하 운반자들이 에너지를 잃고 열을 방출할 수 있고, 반대로 저온부에서 고온부로 전류가 흐르면, 에너지를 얻기 위해 열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수식적 표현 (미분 형태):

톰슨 효과에 의해 단위 시간, 단위 부피당 발생하는 열량 (q) 은 전류 밀도 (J) 와 온도 기울기 (∇T) 에 비례하며, 다음과 같이 미분 형태로 표현됩니다.

q = -τ J ⋅ ∇T

  • q: 단위 시간, 단위 부피당 발생하는 열량 (와트/세제곱미터, W/m³)
  • τ: 톰슨 계수 (Thomson Coefficient) [볼트/켈빈, V/K]. 물질의 종류, 온도 등에 따라 결정되는 값입니다. 톰슨 계수의 부호는 열 흡수/방출 방향을 결정합니다.
  • J: 전류 밀도 (암페어/제곱미터, A/m²)
  • ∇T: 온도 기울기 (켈빈/미터, K/m) (벡터량으로, 온도 변화가 가장 큰 방향과 크기를 나타냅니다.)

특징 및 중요성:

  • 단일 물질 현상: 제백 효과 및 펠티에 효과와 달리, 톰슨 효과는 단일 종류의 도체 내에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 작은 효과: 톰슨 효과는 일반적으로 제백 효과나 펠티에 효과에 비해 크기가 작습니다. 따라서 응용 분야는 제한적이지만, 열전 현상의 이론적 이해를 완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가역적인 효과: 펠티에 효과와 마찬가지로, 전류 또는 온도 기울기의 방향을 바꾸면 열 흡수와 방출 방향도 바뀌는 가역적인 현상입니다.

응용 분야 (제한적):

  • 톰슨 효과 냉각/가열: 톰슨 효과를 이용한 냉각 또는 가열 장치도 원리적으로는 가능하지만, 효과가 작고 효율이 낮아 실용적인 응용은 매우 제한적입니다. 주로 연구 목적으로 톰슨 효과를 이용한 소형 냉각 장치가 개발된 사례가 있습니다.
  • 열전 현상 연구: 톰슨 효과는 다른 열전 효과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열전 현상 전반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톰슨 계수의 측정은 물질의 열전 특성을 분석하고, 새로운 열전 재료를 개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열전 효과 간의 관계:

제백 효과, 펠티에 효과, 톰슨 효과는 독립적인 현상처럼 보이지만, 열역학적으로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특히, 켈빈-톰슨 관계식 (Kelvin-Thomson relations) 은 이 세 가지 열전 계수 (제백 계수, 펠티에 계수, 톰슨 계수) 들 사이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나타냅니다. 이 관계식은 열역학 제1법칙 및 제2법칙을 열전 현상에 적용하여 유도됩니다.

 

결론적으로, 제백 효과, 펠티에 효과, 톰슨 효과는 각각 독특한 열-전기 에너지 변환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중요한 열전현상입니다. 이 현상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는 열전 기술 발전에 필수적이며, 에너지, 환경, 센서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응용을 가능하게 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