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술사/130회 기출문제 풀이

2-1. 다음을 설명하시오.1) 무차원수 Biot number와 Nusselt number의 정의와 차이점을 설명하시오.2) 일정유속의 층류 공기 유동장에 놓여 있는 등온평판의 온도가 40℃에서 90℃로상승하면 Prandtl number는 어떻게 변화하는지 설명하시오.(단, 동점성계수는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onha09 2025. 5. 12. 15:10
반응형

1) 무차원수 Biot number와 Nusselt number의 정의와 차이점

Biot number ()

  • 정의: Biot number는 고체 내부의 전도 열전달 저항과 고체 표면과 주변 유체 사이의 대류 열전달 저항의 비를 나타내는 무차원수입니다.
  • 수식:

  •  여기서,
    • : 대류 열전달 계수 (W/m²·K)
    • : 특성 길이 (m). 물체의 부피를 표면적으로 나눈 값 () 또는 특정 방향의 길이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 : 고체의 열전도율 (W/m·K)
  • 물리적 의미:
    • (보통 0.1 이하): 고체 내부의 온도 분포가 비교적 균일하며, 온도 변화가 주로 대류 저항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경우 물체를 하나의 덩어리로 간주하여 해석하는 집중 용량계(lumped capacitance) 방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 고체 내부의 온도 구배가 크며, 내부 전도 저항이 대류 저항보다 훨씬 중요합니다. 물체 내부 위치에 따른 온도 변화를 고려해야 합니다.
  • 용도: 주로 과도 열전달 문제에서 물체 내부의 온도 분포 균일성을 판단하고, 집중 용량계 해석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Nusselt number ()

  • 정의: Nusselt number는 유체와 고체 표면 사이의 대류 열전달과 유체의 열전도에 의한 열전달의 비를 나타내는 무차원수입니다. 이는 대류가 열전달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촉진하는지를 나타냅니다.
  • 수식:

  • 여기서,
    • : 대류 열전달 계수 (W/m²·K)
    • : 특성 길이 (m). 유동 방향의 길이 또는 수력학적 직경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 : 유체의 열전도율 (W/m·K)
  • 물리적 의미:
    • : 순수한 열전도에 의한 열전달만 일어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대류가 없는 경우).
    • : 대류에 의해 열전달이 촉진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값이 클수록 대류 효과가 강합니다.
  • 용도: 대류 열전달 계수 를 구하거나, 다양한 유동 조건 및 형상에 대한 대류 열전달 특성을 비교하고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데 사용됩니다.

차이점 요약

구분 Biot number () Nusselt number ()
정의 고체 내부 전도 저항 vs. 표면 대류 저항 표면 대류 열전달 vs. 유체 내부 전도 열전달
분모의 열전도율 고체의 열전도율 () 유체의 열전도율 ()
물리적 의미 고체 내부 온도 균일성 (내부 vs. 외부 저항) 대류에 의한 열전달 촉진 효과 (대류 vs. 전도)
주요 용도 과도 열전달 해석, 집중 용량계 적용 판단 대류 열전달 계수 계산, 대류 특성 비교

두 무차원수 모두 대류 열전달 계수 와 특성 길이 를 포함하지만, 분모에 사용되는 열전도율이 고체의 열전도율인지 유체의 열전도율인지에 따라 완전히 다른 물리적 의미를 갖게 됩니다. Biot number는 물체 내부의 온도 분포 특성을, Nusselt number는 물체 표면에서의 유체와 고체 간 열전달 특성을 나타냅니다.


2) 등온평판의 온도 상승에 따른 Prandtl number 변화

Prandtl number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여기서,

  • : 동점성계수 (m²/s)
  • : 열확산율 (m²/s)

열확산율 는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 : 유체의 열전도율 (W/m·K)
  • : 유체의 밀도 (kg/m³)
  • : 유체의 정압 비열 (J/kg·K)

따라서 Prandtl number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문제에서 등온평판의 온도가 40℃에서 90℃로 상승할 때, 일정유속의 층류 공기 유동장에 놓여 있는 상황입니다. 이 온도 변화가 유체인 공기의 물성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문제에서 동점성계수 ()는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있습니다.

공기의 물성치가 온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대기압 기준):

  • 밀도 (): 이상 기체 법칙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면 밀도는 감소합니다 ().
  • 정압 비열 ():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약간 증가합니다.
  • 열전도율 ():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비교적 크게 증가합니다.
  • 동점성계수 (): 일반적으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합니다. 그러나 문제에서 일정하다고 가정했으므로 이 가정에 따릅니다.

이제 식에서 각 항의 변화를 고려해 봅시다.

  • : 일정 (가정)
  • : 온도 상승에 따라 감소
  • : 온도 상승에 따라 약간 증가
  • : 온도 상승에 따라 비교적 크게 증가

분자 항 ()은 가 일정한 가운데 가 감소하고 가 약간 증가하므로, 순 효과는 밀도 감소의 영향이 더 커서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분모 항 ()은 온도 상승에 따라 비교적 크게 증가합니다.

따라서, 분자는 감소하거나 거의 변화가 없는 반면 분모는 크게 증가하므로, Prandtl number ()는 감소하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등온평판의 온도가 40℃에서 90℃로 상승할 때 (일정유속의 층류 공기 유동장, 동점성계수 일정 가정 하에) Prandtl number는 감소합니다.

 

물리적으로 보면, 에서 가 일정한 동안 온도가 높아지면 열전도율 가 증가하여 열확산율 이 증가하게 됩니다. 즉, 열이 확산되는 속도가 빨라지므로, 운동량 확산 속도(동점성계수, )에 비해 열 확산 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져 Prandtl number는 감소합니다. 이는 운동량 경계층의 두께에 대한 열 경계층의 두께 비가 감소함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