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계설비 기술기준」 제9조는 기계설비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고려하여 설계 및 시공해야 함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중 "기계설비 유지관리를 고려한 설계기준"은 기계설비 시스템을 계획하고 도면을 작성하는 단계에서부터 장래의 점검, 보수, 교체 등이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반영해야 할 설계 원칙과 요구사항을 제시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접근성 및 작업 공간 확보:
- 기계실, 샤프트, 덕트 공간, 천장 속, 피트 등 기계설비가 설치되는 모든 공간에서 장비 및 배관, 덕트, 밸브, 제어 장치 등에 대한 점검, 보수, 교체가 용이하도록 충분한 작업 공간과 접근 통로를 확보해야 합니다.
- 점검 및 조작이 필요한 부분(밸브, 트랩, 계측기 등)은 점검구 등을 설치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합니다.
- 장비 반입 및 반출 경로를 고려하여 출입구나 통로의 크기를 충분히 확보해야 합니다.
- 유지관리 편의성을 고려한 배치 및 배열:
- 유사 장비나 계통별로 장비를 집중적으로 배치하여 유지관리 동선을 효율화합니다.
- 밸브, 필터, 스트레이너, 트랩 등 유지관리가 빈번한 부품은 접근이 용이한 위치에 배치합니다.
- 장비의 명판, 지시계, 제어반 등이 잘 보이는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고려합니다.
- 안전성 확보:
- 유지관리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인(고온, 고압, 회전부, 감전 등)을 고려하여 안전 장치 설치 공간을 확보하거나 안전한 작업 절차가 가능하도록 설계합니다.
- 전기 설비의 차단 스위치는 해당 장비 가까이에 배치하여 작업 중 오작동으로 인한 위험을 방지합니다.
- 점검 및 보수 작업을 위한 안전한 작업 발판, 사다리 등의 설치 공간을 고려합니다.
- 계통의 분할 및 격리(Isolation):
- 장비 또는 배관 계통의 일부를 유지보수하기 위해 전체 시스템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도록, 주요 장비 전후 및 배관 계통 분기점 등에 적절한 위치에 차단 밸브(격리 밸브)를 설치하여 계통별로 격리시킬 수 있도록 설계합니다.
- 중요도가 높은 장비(예: 펌프)의 경우, 유지관리 중에도 시스템 운전이 가능하도록 바이패스 배관 라인 설치를 고려합니다.
- 배수 및 공기 빼기 용이성:
- 배관 계통의 최저부 및 장비의 배수 가능한 부분에 배수 밸브 또는 드레인 포인트를 설치하여 시스템 내부의 유체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설계합니다.
- 배관 계통 및 장비의 최고부에 공기 빼기 밸브(에어 벤트)를 설치하여 시스템 충수 시 또는 운전 중 발생하는 공기를 쉽게 배출하고 에어록(Air Lock)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합니다.
- 식별 및 정보 제공:
- 장비, 배관(내용물, 흐름 방향 표시 포함), 밸브, 드레인 포인트, 계측 장치 등에 대한 명확한 식별 표지 및 태그를 부착할 수 있도록 설계에 반영합니다.
- 시스템 구성, 운전 방법, 유지관리 주기, 주요 부품 목록 등 유지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계획합니다.
- 모니터링 및 성능 확인 편의성:
- 시스템의 운전 상태 및 성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압력계, 온도계, 유량계 등 주요 계측 장치 또는 센서 설치 위치를 고려합니다.
- 필터 교체 등 주기적인 점검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한 구조로 설계합니다.
이러한 설계 기준들은 기계설비의 초기 투자 비용뿐만 아니라 건물의 전 생애 주기 동안 발생하는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하고, 설비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유지관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기여합니다. 설계 단계에서부터 유지관리를 충분히 고려하는 것은 설비 시스템의 장기적인 신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