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냉온수 코일은 공조 시스템에서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핵심 부품입니다. 코일의 성능과 효율은 여러 설계 기준에 따라 결정됩니다. 주요 설계 기준 10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요구 열용량 (Required Heating/Cooling Capacity): 코일이 전달해야 하는 열량(냉방 시 열 제거량, 난방 시 열 공급량)은 가장 기본적인 설계 기준입니다. 이는 부하 계산 결과를 기반으로 결정됩니다.
- 공기 유량 및 조건 (Air Flow Rate and Conditions): 코일을 통과하는 공기의 체적 유량 또는 질량 유량, 그리고 코일 진입 시 공기의 건구 온도 및 습구 온도(냉방 시)는 코일 성능 계산의 필수 입력값입니다.
- 냉온수 유량 및 조건 (Water Flow Rate and Conditions): 코일을 흐르는 냉수 또는 온수의 유량, 그리고 코일 진입/진출 시의 온도 조건(예: 냉수 입구 7℃, 출구 12℃; 온수 입구 50℃, 출구 45℃)은 열교환량 및 수두 손실 계산에 중요합니다.
- 코일 열수 (Number of Rows): 공기 흐름 방향으로 튜브가 몇 줄 배열되어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열수가 많을수록 열교환 효율이 높아지지만, 공기 측 압력 손실이 증가하고 코일의 부피가 커집니다.
- 핀 밀도 (Fin Density): 튜브에 부착된 핀(Fin)의 단위 길이당 개수입니다 (FPI: Fins Per Inch). 핀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늘려 열전달을 촉진합니다. 핀 밀도가 높을수록 열전달 성능은 향상되지만, 공기 측 압력 손실이 커지고 먼지 막힘 현상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 코일 전면적 (Coil Face Area): 공기가 코일로 진입하는 단면적입니다. 전면적이 결정되면 공기 유량에 따라 코일을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Face Velocity)가 결정되며, 이는 열전달 효율 및 공기 측 압력 손실에 영향을 미칩니다.
- 공기 측 압력 손실 (Air-side Pressure Drop): 코일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공기 압력의 손실입니다. 이는 송풍기의 소요 동력 및 에너지 소비와 직결되므로, 허용 가능한 압력 손실 범위 내에서 설계해야 합니다.
- 냉온수 측 압력 손실 (Water-side Pressure Drop): 코일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물의 압력 손실입니다. 이는 순환 펌프의 용량 및 소요 동력 결정에 중요하며, 적정한 범위 내로 설계해야 합니다.
- 재질 선정 (Materials of Construction): 튜브(주로 동관), 핀(동, 알루미늄), 케이싱 등의 재질은 내구성, 부식 저항성, 가격, 적용 환경 등을 고려하여 선정됩니다. 특히 습기가 많은 환경이나 특정 유체를 사용하는 경우 재질 선정이 중요합니다.
- 응축수 배수 설계 (Condensate Drainage Design): 냉방 코일의 경우 공기 중 수증기가 응축되어 물(응축수)이 발생합니다. 이 응축수가 코일 표면에 고이거나 비산하지 않고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코일 기울기, 드레인 팬 용량 및 설치 등이 설계되어야 합니다. 동파 방지 (Freeze Protection): 난방 코일이나 외기 조건에 노출되는 냉수 코일의 경우 동파 위험이 있으므로, 최소 유량 확보, 부동액 사용, 적절한 제어 등을 통한 동파 방지 대책이 설계에 반영되어야 합니다.
반응형
'공조냉동기계기술사 > 131회 기출문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 액백(Liquid Back)의 원인과 방지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 2025.05.01 |
---|---|
1-5. 자연대류에 이용되는 중요한 무차원수를 설명하시오. (0) | 2025.05.01 |
1-3. 덕트의 소음과 진동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10가지를 나열하시오. (0) | 2025.04.24 |
1-2. 다음 기초관계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1)열역학관계식(상태방정식의 유도)(2)유체역학관계식(베르누이 정리)(3)열전달관계식(열관류율, 열저항) (0) | 2025.04.24 |
1-1. 비등에 대하여 종류별로 열거하고 그 내용을 설명하시오.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