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온수 배관 시스템에서 2차측 Bleed-In 접속 방식은 1차측 고온수의 일부를 2차측 저온수 시스템으로 직접 혼합하여 2차측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방식입니다. 이는 2차측 부하 변동에 빠르게 대응하고, 별도의 열교환기 없이 간편하게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1) 흐름도

흐름도 설명:
- 1차측 고온수 공급: 보일러 등 열원에서 생산된 고온수가 주 배관을 통해 혼합 밸브로 공급됩니다.
- 2차측 저온수 환수: 2차측 난방 부하(예: 라디에이터, 바닥 난방 코일)를 거쳐 온도가 낮아진 물이 혼합 밸브로 되돌아옵니다.
- 혼합 밸브: 1차측 고온수와 2차측 저온수를 혼합하여 원하는 온도의 혼합수를 생성합니다. 혼합 비율은 2차측 온도 제어 요구에 따라 조절됩니다.
- 2차측 혼합수 공급: 혼합 밸브에서 혼합된 적정 온도의 물이 2차측 난방 부하로 공급됩니다.
- 2차측 난방 부하: 공급된 혼합수가 열을 방출하여 실내 난방을 담당합니다.
- 2차측 저온수 환수: 난방 부하를 거친 후 온도가 낮아진 물은 다시 혼합 밸브로 순환합니다.
(2) 개요 및 특징
개요:
2차측 Bleed-In 접속 방식은 1차측 고온수 배관의 일부를 2차측 저온수 배관에 직접 연결하여 고온수를 소량 주입(Bleed-In)하고, 이를 2차측 환수되는 저온수와 혼합하여 2차측 공급 온도를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주로 소규모 난방 시스템이나 부분적인 온도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 적용됩니다. 혼합 밸브를 사용하여 1차측 고온수의 혼합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2차측 공급 온도를 제어합니다.
특징:
- 간단한 구성: 별도의 열교환기 없이 배관과 혼합 밸브만으로 시스템 구성이 간단합니다. 초기 설치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 빠른 응답성: 1차측 고온수를 직접 혼합하므로 2차측 부하 변동에 대한 온도 변화 응답성이 빠릅니다.
- 정밀한 온도 제어 어려움: 혼합 밸브를 통해 온도 조절이 가능하지만, 1차측 온도 변동이나 2차측 부하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정밀한 온도 제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 2차측 압력 상승 가능성: 1차측의 높은 압력이 2차측으로 직접 전달될 수 있으므로, 2차측 배관 및 기기의 압력 설계에 주의해야 합니다. 압력 감압 장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수질 관리 중요: 1차측과 2차측의 물이 직접 혼합되므로, 수질 관리가 중요합니다. 부식 방지 및 스케일 형성에 대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 에너지 효율 저하 가능성: 1차측의 고온수를 직접 혼합하므로, 열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시스템 에너지 효율이 열교환기를 사용하는 방식보다 낮을 수 있습니다.
- 적용 범위 제한: 주로 소규모 시스템이나 부분적인 온도 조절에 적합하며, 대규모 시스템에는 에너지 효율 및 제어성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습니다.
- 안전성 고려: 고온수가 직접 혼합되므로, 운전 및 유지 보수 시 안전에 유의해야 합니다.
이러한 특징들을 고려하여 시스템의 규모, 부하 특성, 요구되는 온도 정밀도, 에너지 효율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Bleed-In 접속 방식의 적용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반응형
'공조냉동기계기술사 > 132회 기출문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스테인레스 강관의 재질종류와 이음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 2025.04.13 |
---|---|
1-6. 점도(점성계수)와 동점성계수에 대하여 SI단위와 공학단위를 각각 쓰고, 각각에 대하여 차원식으로 나타내시오. (0) | 2025.04.13 |
1-4. 일반건축물 실내 CO2 농도를 기준으로 할 때 필요 환기량 계산식을 설명하시오. (1) | 2025.04.13 |
1-3. 겨울철 난방시 전열교환기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전열효율과 전열회수량 계산식 (2) 상태변화를 습공기선도로 표시 (0) | 2025.04.13 |
1-2. 송풍기의 축동력과 회전수 변화에 따른 풍량, 압력 및 동력의 변화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0)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