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술사/130회 기출문제 풀이

1-7. 엔트로피의 정의와 관련 식을 쓰고 설명하시오.

onha09 2025. 5. 12. 14:22
반응형

1. 엔트로피의 정의

엔트로피(Entropy)는 열역학적 계의 무질서도 또는 불확실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상태 함수입니다. 쉽게 말해, 계의 가능한 미시적 배열(microstate)의 수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엔트로피가 클수록 계는 더 무질서하고, 에너지가 더 널리 퍼져 있으며, 특정한 거시적 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다른 관점에서의 정의:

  • 열역학적 정의: 가역 과정에서 계가 흡수 또는 방출한 열량()을 절대 온도()로 나눈 값의 변화량().
  • 통계역학적 정의 (볼츠만 엔트로피): 계의 엔트로피()는 가능한 미시적 상태의 수()의 자연로그에 볼츠만 상수()를 곱한 값 ().

2. 관련 식 및 설명

가. 열역학적 엔트로피 변화:

  • : 미소 엔트로피 변화량
  • : 가역 과정에서 계로 전달된 미소 열량
  • : 절대 온도 (켈빈, K)

설명: 이 식은 엔트로피 변화를 열과 온도의 관계로 정의합니다. 가역 과정은 이상적인 과정이며, 실제 자발적인 과정에서는 엔트로피가 항상 증가하거나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열역학 제2법칙). 비가역 과정에서의 엔트로피 변화는 로 표현됩니다.

 

나. 통계역학적 엔트로피 (볼츠만 엔트로피):

  • : 엔트로피
  • : 볼츠만 상수 ()
  • : 주어진 거시적 상태에 해당하는 가능한 미시적 상태의 수

설명: 이 식은 엔트로피를 계의 미시적인 배열의 수와 연결합니다. 가능한 미시적 상태가 많을수록 (즉, 무질서도가 높을수록) 엔트로피가 커집니다. 예를 들어, 기체 분자들이 한쪽에 몰려 있는 상태보다 공간 전체에 균일하게 퍼져 있는 상태가 더 많은 미시적 상태를 가지므로 엔트로피가 더 큽니다.

다. 엔트로피 변화 (거시적 관점):

닫힌 계에서 엔트로피 변화()는 초기 상태(1)에서 최종 상태(2)로의 변화에 대해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습니다.

설명: 엔트로피는 상태 함수이므로 경로에 의존하지 않고 초기 상태와 최종 상태에만 의존합니다. 따라서 비가역 과정의 엔트로피 변화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초기 및 최종 상태를 갖는 가역 과정을 상상하여 적분합니다.

라. 열역학 제2법칙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

고립된 계의 총 엔트로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할 수 없으며, 가역 과정에서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비가역 과정에서는 항상 증가합니다.

설명: 이 법칙은 자연계에서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모든 과정은 전체 엔트로피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뜨거운 물체와 차가운 물체를 접촉시키면 열은 뜨거운 물체에서 차가운 물체로 이동하여 결국 평형 상태에 도달하며, 이 과정에서 전체 엔트로피는 증가합니다. 다시 원래의 온도 차이를 갖는 상태로 되돌아가려면 외부의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엔트로피는 계의 무질서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열역학적 개념이며, 에너지의 흐름 방향과 자발적인 변화의 방향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관련 식들은 엔트로피 변화를 정량적으로 계산하고 열역학적 법칙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