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계설비기술사/130회

1-1.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의 목적과 취지(의미)에 대하여설명하시오.

onha09 2025. 5. 2. 23:35
반응형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이하 탄소중립기본법)은 대한민국이 직면한 기후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과 함께 경제 성장을 동시에 추구하기 위해 제정된 핵심적인 법률입니다.

 

1. 목적

탄소중립기본법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후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감축하여 실질적인 탄소중립 사회로 나아가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녹색성장 추진: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 과정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고, 환경과 경제의 조화로운 발전을 도모합니다. 즉,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경제 성장을 이루는 것을 추구합니다.
  • 국제사회와의 협력 강화: 국제적인 기후변화 대응 노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하여 지구적 문제 해결에 기여합니다.
  • 국민의 안전과 건강 보호: 기후변화의 부정적인 영향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고,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미래세대에 대한 책임 이행: 현재 세대의 책임을 다하여 미래세대가 기후변화의 위협 없이 지속가능한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합니다.
  • 정의로운 전환 도모: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 과정에서 사회적 불평등을 완화하고, 취약 계층 및 산업에 대한 지원을 통해 공정하고 정의로운 전환을 추구합니다.

2. 취지(의미)

탄소중립기본법의 핵심적인 취지와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법적 구속력 있는 탄소중립 목표 명시: 대한민국은 이 법을 통해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국가 목표를 법적으로 명확히 설정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감축 목표 및 이행 방안 마련의 법적 근거를 마련했습니다. 이는 정부의 강력한 정책 추진 의지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 녹색성장의 법적 기반 마련: 단순히 탄소 배출량 감축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기술 혁신, 산업 구조 전환, 새로운 시장 창출 등 녹색 성장을 위한 정책 추진의 법적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이는 경제 성장과 환경 보호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려는 의지를 나타냅니다.
  • 사회 전반의 참여와 협력 강조: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정부뿐만 아니라 기업, 시민사회, 지방자치단체 등 사회 모든 구성원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을 강조합니다. 이는 범국가적인 노력을 통해 기후위기에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 기후변화 대응의 주류화: 기후변화 대응을 더 이상 부가적인 정책이 아닌, 국가 운영의 핵심적인 가치이자 정책 방향으로 격상시키는 의미를 갖습니다. 이는 모든 정책 결정 과정에서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하고,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우선순위에 두겠다는 의지를 나타냅니다.
  • 미래세대와 환경 정의 실현: 미래세대가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살아갈 권리를 보장하고, 기후변화의 불평등한 영향으로부터 취약 계층을 보호하는 환경 정의 실현의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국제사회에 대한 책임 있는 자세 표명: 대한민국이 국제 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지구적 기후변화 대응 노력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하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탄소중립기본법은 대한민국이 기후위기라는 절체절명의 과제에 맞서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해 나아가기 위한 핵심적인 법적 틀을 제공하며,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과 녹색 성장을 동시에 추구하겠다는 국가적인 의지를 담고 있는 중요한 법률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