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구 온난화 문제와 환경 규제 강화로 인해 자연 냉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산화탄소(CO2, R744) 냉매는 그중에서도 유망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1) 이산화탄소의 상평형도, 삼중점 및 임계점
이산화탄소는 독특한 상평형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냉동 시스템 설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산화탄소 상평형도 (Phase Diagram):

위 그림은 이산화탄소의 간략화된 상평형도를 나타냅니다. 상평형도는 온도와 압력 변화에 따른 물질의 상태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이산화탄소의 상평형도는 다른 냉매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낮은 임계 온도: 이산화탄소의 임계 온도는 약 31.1℃ (304.2K)로 매우 낮습니다. 일반적인 냉방 환경 조건에서 응축 과정이 임계점 이하에서 일어나지 않고 임계점 초과 상태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 냉매와 다른 트랜스크리티컬 사이클(Transcritical Cycle) 운전을 필요로 합니다.
- 높은 임계 압력: 이산화탄소의 임계 압력은 약 7.38 MPa (73.8 bar)로 높습니다. 시스템 설계 시 고압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 삼중점 (Triple Point): 고체, 액체, 기체 세 가지 상이 열역학적 평형 상태로 공존하는 점입니다. 이산화탄소의 삼중점은 온도 약 -56.6℃ (216.55K), 압력 약 0.52 MPa (5.2 bar) 입니다.
- 임계점 (Critical Point): 액체와 기체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점으로, 더 이상 압력을 가해도 액화되지 않는 상태입니다. 이산화탄소의 임계점은 온도 약 31.1℃ (304.2K), 압력 약 7.38 MPa (73.8 bar) 입니다.
삼중점 및 임계점 온도와 압력:
구분
|
온도 (℃)
|
온도 (K)
|
압력 (MPa)
|
압력 (bar)
|
삼중점
|
-56.6
|
216.55
|
0.52
|
5.2
|
임계점
|
31.1
|
304.2
|
7.38
|
73.8
|
이산화탄소 상평형도 특징 요약:
- 낮은 임계 온도 (약 31.1℃): 트랜스크리티컬 사이클 운전 필요
- 높은 임계 압력 (약 7.38 MPa): 고압 시스템 설계 고려
- 삼중점: -56.6℃, 0.52 MPa
- 임계점: 31.1℃, 7.38 MPa
2) 트랜스크리티컬 사이클 (Trans-Critical Cycle)
트랜스크리티컬 사이클은 이산화탄소 냉매의 낮은 임계 온도 특성 때문에 개발된 냉동 사이클입니다. 기존의 서브크리티컬 사이클(Subcritical Cycle)과는 응축 과정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서브크리티컬 사이클 (Subcritical Cycle):

- 일반적인 냉매 (R22, R134a, R410A 등) 에 적용되는 전통적인 냉동 사이클입니다.
- 응축 과정: 응축기에서 냉매는 임계 온도 이하에서 등압 응축 과정을 거쳐 액체 상태로 상변화합니다. 응축 과정에서 냉매는 열을 외부로 방출합니다.
- 증발 과정: 증발기에서 냉매는 액체 상태에서 증발하여 증기 상태로 상변화하며,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냉각 효과를 발생시킵니다.
- 사이클 구성: 압축 - 응축 (등압) - 팽창 (단열) - 증발 (등압)
트랜스크리티컬 사이클 (Transcritical Cycle):
- 이산화탄소 냉매의 낮은 임계 온도 특성에 맞춰 개발된 사이클입니다.
- 가스 냉각기 (Gas Cooler) 과정: 응축기 대신 가스 냉각기 (Gas Cooler) 를 사용합니다. 냉매는 임계 온도 초과 상태에서 등압 과정으로 냉각되지만, 상변화 (응축) 없이 고온 가스 상태에서 저온 고압 가스 상태로 냉각됩니다. 가스 냉각기에서 냉매는 열을 외부로 방출합니다.
- 증발 과정: 서브크리티컬 사이클과 동일하게 증발기에서 냉매는 액체 상태에서 증발하여 증기 상태로 상변화하며,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냉각 효과를 발생시킵니다.
- 사이클 구성: 압축 - 가스 냉각 (등압) - 팽창 (단열) - 증발 (등압)
- 최적 고압 (Optimum High Pressure): 트랜스크리티컬 사이클은 응축 과정 대신 가스 냉각 과정을 거치므로, 응축 압력 대신 최적 고압 이 존재합니다. 최적 고압은 외기 온도 및 운전 조건에 따라 변화하며, COP (성능 계수) 를 최대화하는 압력 값입니다. 시스템 제어를 통해 최적 고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브크리티컬 사이클 vs 트랜스크리티컬 사이클 비교:
구분
|
서브크리티컬 사이클 (Subcritical Cycle)
|
트랜스크리티컬 사이클 (Transcritical Cycle)
|
적용 냉매
|
R22, R134a, R404A, R407C, R410A 등
|
이산화탄소 (R744)
|
응축 과정
|
응축기, 등압 상변화 (액화)
|
가스 냉각기, 등압 냉각 (상변화 없음)
|
응축 온도
|
임계 온도 이하
|
임계 온도 초과
|
사이클 최고 온도
|
응축 온도
|
가스 냉각기 출구 온도
|
사이클 최고 압력
|
응축 압력
|
최적 고압 (가변)
|
최적 고압 존재 여부
|
없음 (응축 압력 고정)
|
있음 (운전 조건에 따라 변동)
|
COP (성능 계수)
|
비교적 높음 (일반적인 냉방 조건)
|
운전 조건에 따라 변동, 최적화 필요
|
장점
|
익숙한 기술, 효율적인 운전 (일반 냉방 조건)
|
친환경 냉매 (GWP=1), 저온 성능 우수, 폐열 회수 용이
|
단점
|
지구온난화지수 (GWP) 높은 냉매 사용
|
높은 운전 압력, COP 변화 폭 큼, 시스템 복잡성
|
트랜스크리티컬 사이클 특징 요약:
- 이산화탄소 냉매 특성에 맞춘 사이클
- 응축기 대신 가스 냉각기 사용 (임계 온도 초과 운전)
- 최적 고압 존재, 시스템 제어 중요
- 서브크리티컬 사이클 대비 COP 변화 폭 큼, 최적화 필요
3) 응용 분야
이산화탄소 냉동기는 친환경성, 안전성, 우수한 열역학적 특성 등 다양한 장점을 바탕으로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개발 및 적용되고 있습니다. 주요 응용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상업용 냉동 시스템 (Commercial Refrigeration):
- 슈퍼마켓 냉동 시스템: 냉장 쇼케이스, 냉동 창고, 냉동 설비 등에 이산화탄소 냉동기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 장점: 에너지 효율 향상, 식품 품질 향상, 친환경성 (저GWP 냉매)
- 적용 사례: 전이 시스템 (Transitional System, Booster System), 캐스케이드 시스템 (Cascade System), 병렬 압축 시스템 (Parallel Compression System) 등 다양한 시스템 구성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 편의점, 식료품점 냉장 시스템: 소규모 상업 시설 냉장 시스템에도 이산화탄소 냉동기 적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 장점: 소형 시스템에 적합, 설치 공간 절약, 친환경성
② 산업용 냉동 시스템 (Industrial Refrigeration):
- 냉동 창고: 대규모 냉동 창고, 저온 물류 창고 등에 이산화탄소 냉동기 적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장점: 높은 냉동 능력, 우수한 저온 성능, 에너지 효율 향상, 친환경성
- 적용 사례: 2단 압축 시스템, 부스터 시스템 등 대용량 시스템 구성
- 식품 가공 공장: 식품 냉각, 급속 냉동, 저온 공정 등에 이산화탄소 냉동 시스템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 장점: 식품 품질 향상 (급속 냉동 효과), 위생적인 환경 유지, 친환경성
③ 수송용 냉동 시스템 (Transport Refrigeration):
- 냉동 탑차, 냉동 컨테이너: 육상 및 해상 운송용 냉동 시스템에 이산화탄소 냉동기 적용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 장점: 친환경성, 에너지 효율 향상, 냉매 누설량 감소
④ 히트펌프 시스템 (Heat Pump Systems):
- 급탕, 난방 히트펌프: 가정용, 상업용, 산업용 급탕 및 난방 시스템에 이산화탄소 히트펌프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 장점: 높은 온수 생산 온도 (고온 히트펌프에 적합), 높은 COP (에너지 효율), 친환경성
- 적용 분야: 가정용 온수기, 상업 시설 급탕 시스템, 지역 난방 시스템, 산업 폐열 회수 히트펌프 등
- 산업 공정용 히트펌프: 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이산화탄소 히트펌프 시스템 개발 및 적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 장점: 에너지 절감, 탄소 배출량 감소, 생산 공정 효율 향상
⑤ 자동차 에어컨 (Automotive Air Conditioning):
- 친환경 자동차 에어컨: 전기 자동차, 수소 자동차 등 친환경 자동차 에어컨 냉매로 이산화탄소 적용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 장점: 친환경성, 안전성, 시스템 소형화 가능성
⑥ 기타 응용 분야:
- 자판기 냉각 시스템
- 제빙기
- 데이터 센터 냉각 시스템
- 의료용 냉동 시스템 (저온 창고, 혈액 냉장고 등)
- 선박용 냉동 시스템
이산화탄소 냉동기 응용 분야 확대 요인:
- 친환경 규제 강화: 지구 온난화 규제, HFC 냉매 규제 등 환경 규제 강화 추세에 따라 친환경 냉매 수요 증가
- 이산화탄소 냉매 장점 부각: ODP=0, GWP=1 (자연 냉매), 뛰어난 열역학적 특성 (높은 체적 냉동 용량, 우수한 열전달 성능), 안전성 (비가연성, 무독성)
- 기술 개발 및 상용화 확대: 압축기, 가스 냉각기, 팽창 밸브 등 핵심 부품 기술 개발, 시스템 설계 및 제어 기술 발전, 시스템 가격 경쟁력 확보
결론적으로, 이산화탄소 냉동기는 친환경성과 에너지 효율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차세대 냉동 기술로,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기술 개발 및 시장 확대에 따라 향후 냉동 공조 시장에서 이산화탄소 냉동기의 비중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