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술사/135회 기출문제 풀이

4-3. 대형병원건물에 냉난방 24시간 운전(800USRT), 10시간(1200USRT) 운전조닝(Zoning)으로 설계가 되었다. 열원장비는 고효율 가스 흡수식 냉온수기 1000USRT 2대로 되어있고, 냉온수 겸용 헤더(Header)로 설계, 냉각수 배관 방식은 개별배관 방식이다. 경제성을 평가(VE:Value Engineering)하시오.

onha09 2025. 3. 7. 09:35
반응형

대형병원 건물 냉난방 시스템 경제성 평가 (VE: Value Engineering)

현재 설계 개요:

  • 건물: 대형 병원 건물
  • 냉난방 부하:
  • 24시간 운전 구역: 800 USRT (주요 핵심 시설 - 수술실, 중환자실, 응급실, 검사실 등)
  • 10시간 운전 구역: 1200 USRT (일반 병실, 외래 공간, 사무 공간 등)
  • 총 냉난방 부하 (최대): 2000 USRT (800 USRT + 1200 USRT)
  • 열원 장비: 고효율 가스 흡수식 냉온수기 1000USRT x 2대 (총 2000 USRT)
  • 헤더: 냉온수 겸용 헤더 (Common Header)
  • 냉각수 배관: 개별 배관 방식 (각 냉온수기별 냉각탑 연결)

설계 의도 분석:

  • 24시간 운전 구역 및 10시간 운전 구역 분리: 병원 건물 특성상 24시간 항시 운전이 필요한 구역과 주간에만 집중적으로 운전하는 구역을 구분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자 했습니다.
  • 고효율 가스 흡수식 냉온수기: 부분 부하 효율이 우수하고, 폐열 회수 가능, 전기 피크 부하 절감 등 장점을 고려하여 가스 흡수식 냉온수기를 선택했습니다. 고효율 모델을 적용하여 운전비 절감을 목표했습니다.
  • 냉온수 겸용 헤더: 냉방 및 난방 시스템 통합 운영 및 초기 투자비 절감, 시스템 단순화 등을 위해 냉온수 겸용 헤더를 적용했습니다.
  • 개별 냉각수 배관: 각 냉온수기 별 독립적인 냉각수 계통 구축으로 부분 부하 운전 효율 향상 및 유지 관리 편의성 증대, 시스템 안정성 확보를 고려했습니다.

경제성 평가 (VE) 분석:

1. 초기 투자비 분석:

  • 장점:
  • 냉온수 겸용 헤더: 냉온수 시스템 통합으로 초기 배관 공사비 및 시스템 구축 비용 일부 절감 가능성
  • 고효율 장비 적용: 장기적으로 에너지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단점:
  • 고효율 가스 흡수식 냉온수기: 일반적인 전기 냉동기에 비해 초기 투자비가 높은 편입니다. 1000USRT 대용량 가스 흡수식 냉온수기 2대 설치는 상당한 초기 투자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개별 냉각수 배관: 공용 배관 방식에 비해 배관 자재비 및 공사비 증가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2. 운전비 분석:

  • 장점:
  • 고효율 가스 흡수식 냉온수기: 부분 부하 효율이 우수하여, 병원 건물과 같이 부하 변동이 큰 건물에서 유리합니다. 또한, 폐열 회수 기능을 통해 난방 시 에너지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 24시간/10시간 운전 조닝: 운전 시간대별 부하에 맞춰 냉방 용량을 조절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 개별 냉각수 배관: 각 냉온수기 별 독립 운전으로 부분 부하 운전 시 유리하며, 전체 시스템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 단점:
  • 가스 연료비: 가스 가격 변동에 따라 운전비 변동성이 큽니다. 특히 최근 가스 가격 상승 추세는 운전비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습니다.
  • 냉각탑 팬 및 펌프 동력: 2대의 냉온수기 및 개별 냉각수 배관으로 인해 냉각탑 팬 및 펌프의 운전 동력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3. 유지 관리비 분석:

  • 장점:
  • 개별 냉각수 배관: 각 계통별 독립적인 유지 관리가 가능하여 시스템 유지 관리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습니다.
  • 단점:
  • 가스 흡수식 냉온수기: 전기 냉동기에 비해 유지 보수 난이도가 높고, 전문 인력 및 유지 보수 비용이 더 많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냉온수 겸용 헤더: 시스템 복잡성 증가로 유지 보수 난이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 개별 냉각수 배관: 배관 길이가 증가하고, 유지 보수 점검 지점이 늘어나 유지 관리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4. 기능성 분석:

  • 장점:
  • 24시간/10시간 운전 조닝: 병원 건물의 운전 패턴에 맞춰 냉난방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 고효율 가스 흡수식 냉온수기: 안정적인 냉난방 공급 및 부분 부하 운전 성능 우수
  • 냉온수 겸용 헤더: 시스템 통합 운영 및 공간 활용 효율성 증대 가능
  • 개별 냉각수 배관: 시스템 안정성 및 부분 부하 운전 효율 향상
  • 단점:
  • 가스 흡수식 냉온수기: 전기 냉동기에 비해 기동 시간이 다소 길고, 응답성이 느릴 수 있습니다.
  • 냉온수 겸용 헤더: 시스템 제어 및 운전 로직이 복잡해질 수 있으며, 냉난방 동시 운전 시 효율 저하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VE 제안 및 대안 검토:

VE 목표: 초기 투자비 및 운전비를 절감하고, 기능성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키는 대안 모색

대안 1: 열원 장비 재검토 (전기 냉동기 + 가스 흡수식 냉온수기 조합)

  • 제안 내용:
  • 기본 부하 (24시간 운전 구역 800USRT)는 고효율 전기 냉동기 (터보 냉동기 또는 인버터 스크류 냉동기) 1대로 담당
  • 피크 부하 (10시간 운전 구역 1200USRT)는 가스 흡수식 냉온수기 1대로 담당 (또는 용량 분할하여 2대)
  • 기존 냉온수 겸용 헤더 및 개별 냉각수 배관 방식 유지
  • 기대 효과:
  • 초기 투자비 절감: 전기 냉동기의 초기 투자비가 가스 흡수식 냉온수기보다 저렴하므로 초기 투자비 일부 절감 가능
  • 운전비 절감 가능성: 기본 부하는 효율적인 전기 냉동기로 담당하고, 피크 부하 또는 난방 시에만 가스 흡수식 냉온수기를 운전하여 전체적인 운전비 절감 가능성 (전기 요금 및 가스 요금 단가 비교 분석 필요)
  • 부분 부하 효율 유지: 가스 흡수식 냉온수기는 부분 부하 효율이 우수하므로, 피크 부하 운전 시 효율적인 운전 가능
  • 검토 사항:
  • 전기 냉동기 및 가스 흡수식 냉온수기의 용량 선정 최적화 (부하 분석 기반)
  • 전기 요금 및 가스 요금 단가 비교 분석 (지역별, 계절별 요금 변동 고려)
  • 전기 냉동기 및 가스 흡수식 냉온수기의 유지 보수 비용 비교

대안 2: 냉각수 배관 방식 변경 (공용 배관 방식 검토)

  • 제안 내용:
  • 냉각수 배관을 개별 배관 방식에서 공용 배관 방식으로 변경 (냉각탑 및 냉각수 펌프 공용화)
  • 열원 장비는 기존 고효율 가스 흡수식 냉온수기 2대 유지
  • 냉온수 겸용 헤더 방식 유지
  • 기대 효과:
  • 초기 투자비 절감: 냉각수 배관 자재비, 공사비, 냉각탑 및 냉각수 펌프 대수 감소로 초기 투자비 절감 가능
  • 유지 관리비 절감: 냉각탑 및 냉각수 펌프 유지 관리 점검 대상 감소로 유지 관리 비용 절감 가능
  • 검토 사항:
  • 공용 배관 방식 적용 시 부분 부하 운전 효율 저하 가능성 (펌프 제어 및 냉각탑 제어 방식 최적화 필요)
  • 시스템 안정성 검토 (공용 배관 방식의 장단점 분석 및 비상 운전 대책 마련)
  • 냉각수 배관 시스템 설계 최적화 (배관 경로, 펌프 용량, 밸브 구성 등)

대안 3: 축열 시스템 도입 검토 (빙축열 또는 냉수 축열)

  • 제안 내용:
  • 야간 시간대 전기 요금이 저렴한 시간대에 빙축열 시스템 또는 냉수 축열 시스템을 이용하여 냉열을 축적
  • 주간 피크 부하 시 축열된 냉열을 활용하여 냉방 부하를 일부 담당
  • 열원 장비 용량 감소 및 운전비 절감 목표 (가스 흡수식 냉온수기 용량 조정 또는 전기 냉동기 조합 검토)
  • 기대 효과:
  • 운전비 절감: 야간 시간대 저렴한 전기 요금을 활용하여 냉방 운전비 대폭 절감 가능
  • 피크 부하 절감: 주간 피크 부하를 축열 시스템이 담당하여 열원 장비 용량 감소 가능 및 전기 피크 부하 절감 효과
  • 에너지 효율 향상: 전체적인 시스템 에너지 효율 향상 기대
  • 검토 사항:
  • 축열 시스템 초기 투자비 증가 (축열조, 축열 설비, 제어 시스템 등)
  • 축열 시스템 설치 공간 확보
  • 축열 시스템 효율 및 성능 검토 (축열 용량, 축열 효율, 방열 특성 등)
  • 건물 냉방 부하 패턴 분석 및 축열 시스템 용량 최적화

경제성 평가 방법:

각 VE 대안별 경제성 평가는 다음 항목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행해야 합니다.

  • 초기 투자비 (CAPEX): 장비 구매 비용, 설치 공사비, 설계비, 감리비 등 초기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총 비용 산출
  • 운전비 (OPEX): 연간 에너지 비용 (가스비, 전기료), 용수비, 약품비 등 연간 운전에 필요한 비용 예측
  • 유지 관리비 (Maintenance Cost): 연간 정기 점검, 부품 교체, 수리 비용 등 유지 관리에 필요한 비용 예측
  • 수명 주기 비용 (Life Cycle Cost, LCC): 초기 투자비, 운전비, 유지 관리비, 폐기 비용 등을 시스템 수명 주기 (약 20~30년) 동안 합산하여 총 비용 평가
  • 에너지 절감량 및 비용 절감액: 각 대안별 에너지 절감량 및 운전비 절감액을 정량적으로 분석
  • 투자 회수 기간 (Payback Period): 에너지 절감액 또는 운전비 절감액을 기준으로 초기 투자비 회수 기간 산출
  • 순현재가치 (Net Present Value, NPV): 할인율을 적용하여 미래의 현금 흐름을 현재 가치로 환산하여 경제성 평가
  • 내부 수익률 (Internal Rate of Return, IRR): 순현재가치를 0으로 만드는 할인율을 계산하여 투자 수익률 평가

VE 평가 절차:

  1. VE 팀 구성: 건축, 기계 설비, 에너지, 경제성 분석 등 분야별 전문가로 VE 팀 구성
  2. 현행 설계 분석: 설계 도서, 부하 계산서, 장비 사양서 등 설계 자료 검토 및 현행 설계 분석
  3. VE 아이디어 발굴: VE 대안 1, 2, 3 외에 다양한 VE 아이디어 발굴 (브레인스토밍, 벤치마킹 등 활용)
  4. 대안 평가 및 분석: 각 VE 대안별 기술적 검토, 경제성 평가 (초기 투자비, 운전비, 유지 관리비, LCC 분석 등) 수행
  5. VE 제안 선정: VE 평가 결과 및 VE 팀 검토를 거쳐 최적 VE 제안 선정 (기능성, 경제성, 실현 가능성, 유지 관리 용이성 등 종합 고려)
  6. VE 보고서 작성: VE 분석 과정, 평가 결과, VE 제안 내용, 기대 효과 등을 상세히 기술한 VE 보고서 작성 및 발주처 보고

결론:

대형병원 건물 냉난방 시스템 VE 평가 결과, 고효율 가스 흡수식 냉온수기를 적용한 현재 설계는 부분 부하 효율 및 시스템 안정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지만, 초기 투자비 및 운전비 부담이 클 수 있습니다.

VE 제안:

  • 대안 1 (열원 장비 조합 변경): 초기 투자비 및 운전비 절감 가능성을 높이는 효과적인 VE 방안으로 판단됩니다. 전기 요금 및 가스 요금 단가 비교 분석을 통해 경제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 대안 2 (냉각수 배관 방식 변경): 초기 투자비 및 유지 관리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부분 부하 효율 저하 가능성 및 시스템 안정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 대안 3 (축열 시스템 도입): 운전비 절감 효과가 매우 클 수 있지만, 초기 투자비 증가 및 설치 공간 확보에 대한 제약 사항을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최종 의사 결정:

VE 팀은 위 VE 분석 결과 및 제안을 바탕으로 발주처와 긴밀히 협의하여 건물 특성, 에너지 효율 목표, 예산 제약, 유지 관리 편의성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종 VE 방안을 결정해야 합니다. LCC 분석 결과 및 투자 회수 기간을 주요 의사 결정 지표로 활용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반응형

'공조냉동기계기술사 > 135회 기출문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4-5. 최근 이산화탄소 냉동기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이산화탄소의 상평형도를 그리고, 삼중점과 임계점의 온도와 압력 2) 트랜스크리티컬 사이클(Trans-Critical Cycle) 3) 응용분야  (0) 2025.03.08
4-4.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령 제2조 고압가스 종류 및 범위에서 압축가스를정의하고있다. 냉동기에 적용하는 다음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압축가스 압력범위 2) 법정 냉동톤, 냉동톤, 냉각톤, 제빙톤 3) 기준 냉동사이클의 목적 4) 냉매 몰리에르선도(p-h)의 구성 5) 냉매 압축기 종류, 사용냉매 종류 및 냉동기 선정 기준  (1) 2025.03.08
4-2. 호텔과 같은 숙박시설과 비교한 병원의 공기조화 시설의 기본적인 차이점과 감염원 확산 방지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2025.03.07
4-1. 데시컨트 제습에 관한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지하공간의 곰팡이 제거 방안으로, 데시컨트 제습과 에어컨 제습의 차이 2) 아이스링크에 적용시 효과 3) 냉동창고에 적용시 효과 4) 슈퍼마켓에 적용시 효과 5) 극장에 적용시 효과  (0) 2025.03.07
3-6.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의 증발기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증발기 전열관 내의 냉매 온도와 압력분포를 그리고, 냉매의 유량이 변화할때의온도변화와 압력변화 (단, 이때 냉매는 온도 구배(Temperature Gliding)가 없는 단일성분 냉매를 기준으로 한다.) 2) 건식 증발기의 종류 3가지  (0) 2025.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