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표준품셈과 품셈의 정의 (Definition of Standard Estimating Manual and Estimating Manual):
- 표준품셈 (Standard Estimating Manual):
- 정의: 표준품셈은 건설 공사에 필요한 각종 작업에 대한 인력, 자재, 장비 등의 투입량 기준을 국가 또는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표준화하여 제시하는 자료입니다. 이는 공사비 산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며, 공사의 종류, 규모, 공법 등을 고려하여 세부 항목별로 품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 특징: 공정별 표준화된 작업량 기준 제시, 객관적이고 공정한 공사비 산정의 기초 자료 제공, 공사비 예측 및 예산 편성의 정확성 향상, 공사 계약 및 관리의 효율성 증대 등을 목적으로 합니다. 한국에서는 국토교통부에서 발행하는 '건설공사 표준품셈'이 대표적입니다.
- 품셈 (Estimating Manual):
- 정의: 품셈은 특정 공사 또는 공종에 필요한 인력, 자재, 장비 등의 투입량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 또는 자료를 포괄적으로 의미합니다. 표준품셈을 포함하여, 특정 회사나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작성한 품셈, 또는 실적 공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든 품셈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 특징: 표준품셈을 기반으로 하거나, 특정 공사의 특성, 현장 조건, 시공 방법 등을 반영하여 보다 정확한 공사비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회사의 경험 데이터, 시장 조사 자료, 특수한 공법 등을 고려하여 작성될 수 있습니다.
2) 적산 시 검토사항 5가지 (Five Factors to Consider During Cost Estimation):
적산 과정에서 정확하고 합리적인 공사비를 산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 설계 도서의 정확성 및 상세도 확인: 시공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설계 도면에 정확하게 표현되어 있는지, 시방서와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누락된 부분이나 불명확한 사항은 설계자에게 문의하여 명확히 해야 합니다.
- 물량 산출의 정확성: 설계 도면을 바탕으로 각 공종별 자재의 수량, 시공 면적, 길이, 부피 등을 정확하게 산출해야 합니다. 물량 산출 오류는 전체 공사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신중하게 작업해야 합니다.
- 품셈 기준의 적합성: 해당 공사에 적용할 표준품셈 또는 자체 품셈이 적절한지 검토해야 합니다. 공사의 종류, 규모, 지역, 시기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품셈 기준을 선택해야 합니다.
- 시장 단가 및 노무비 조사: 산출된 물량에 적용할 자재 단가, 노무비, 장비 사용료 등을 시장 조사를 통해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시기별, 지역별 시장 상황에 따라 단가가 변동될 수 있으므로 최신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 할증 및 손율 적용: 자재 운반, 보관, 시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 할증, 가공비 등을 품셈 기준에 따라 적절하게 반영해야 합니다. 또한, 현장 조건, 작업 환경 등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할증 적용 여부를 검토해야 합니다.
3) 적산순서 (Cost Estimation Process):
건축기계설비 적산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 설계 도서 검토: 설계 도면, 시방서, 내역서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공사의 범위, 내용, 요구 조건 등을 파악합니다.
- 공종 분류 및 품목 식별: 설계 도서를 기준으로 공사를 세부 공종별로 분류하고, 각 공종에 필요한 품목(자재, 노무, 장비)을 식별합니다.
- 물량 산출: 식별된 각 품목별 수량을 설계 도면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산출합니다. 부위별, 층별로 구분하여 산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 품셈 적용: 해당 공사에 적합한 표준품셈 또는 자체 품셈 기준을 적용하여 각 품목별 단위 작업량(품)을 결정합니다.
- 단가 조사 및 적용: 시장 조사를 통해 각 품목별 단가(자재 단가, 노무비, 장비 사용료)를 파악하고 적용합니다.
- 직접 공사비 산출: 산출된 물량, 품, 단가를 곱하여 각 공종별 직접 공사비를 산출하고, 이를 합산하여 총 직접 공사비를 계산합니다.
- 간접 공사비 산출: 공사 현장 운영 및 관리에 필요한 간접비(현장 관리비, 일반 관리비, 이윤 등)를 관련 기준에 따라 산출합니다.
- 총 공사비 산출: 직접 공사비와 간접 공사비를 합산하여 최종 총 공사비를 산출합니다.
- 내역서 작성: 산출된 공사비를 품목별로 상세하게 기록한 내역서를 작성합니다. 이는 공사비 구성 내용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계약 및 관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됩니다.
이러한 적산 과정은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며, 필요에 따라 적산 전문 프로그램이나 도구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