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계설비기술사/133회 기출문제 풀이

2-5. 데이터센터의 공조기술을 설명하고, 에너지효율을 평가하는 지표인 전력효율지수(Power Usage Effectiveness, PUE)를 절감할 수 있는 설계요소를 설명하시오.

onha09 2025. 4. 1. 20:53
반응형

데이터센터의 공조기술은 IT 장비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열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서버 및 기타 장비가 최적의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주요 공조기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공기 냉각 방식 (Air Cooling):

  • 항온항습기 (CRAC, Computer Room Air Conditioner): 데이터센터의 가장 일반적인 냉각 방식으로, 냉매를 사용하여 공기를 직접 냉각하고 온도와 습도를 정밀하게 제어합니다. 주로 데이터센터 외곽에 설치되어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고 더운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 인라인 냉각 (In-Row Cooling): 서버 랙 사이에 냉각 장치를 배치하여 열 발생 지점과 가까운 곳에서 직접 냉각하는 방식입니다. 냉각 효율을 높이고 냉각 공기의 이동 거리를 줄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후면 도어 열교환기 (Rear Door Heat Exchanger): 서버 랙 후면에 설치되어 서버에서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를 냉각하는 방식입니다. 고밀도 서버 환경에서 효과적이며, 기존 항온항습기와 함께 사용되거나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외기 냉방 (Free Cooling): 외부 공기의 온도가 데이터센터 내부 냉각에 유리한 경우, 냉동기 가동 대신 외부 공기를 직접 유입하여 냉각하는 방식입니다. 에너지 절감 효과가 매우 크지만, 외부 환경 조건에 따라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액체 냉각 방식 (Liquid Cooling):

  • 직접 액체 냉각 (Direct Liquid Cooling): 서버의 주요 발열 부품 (CPU, GPU 등)에 냉각수를 직접 접촉시켜 열을 흡수하는 방식입니다. 공기 냉각 방식보다 훨씬 높은 냉각 효율을 제공하여 고성능 컴퓨팅 환경에 적합합니다.
  • 침수 냉각 (Immersion Cooling): 서버 전체를 유전체 액체에 침수시켜 열을 방출시키는 방식입니다. 냉각 효율이 매우 높고 소음이 적으며, 극한의 고밀도 환경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전력효율지수 (PUE) 절감을 위한 설계 요소

전력효율지수 (Power Usage Effectiveness, PUE)는 데이터센터의 총 에너지 사용량을 IT 장비 에너지 사용량으로 나눈 값으로,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UE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에너지 효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UE를 절감하기 위한 설계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냉각 시스템 효율 향상:

  • 고온 통로/저온 통로 격리 (Hot Aisle/Cold Aisle Containment): 서버 랙 배열 시 뜨거운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고온 통로)와 차가운 공기가 공급되는 통로(저온 통로)를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냉각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 가변 풍량 제어 (Variable Air Volume, VAV): 냉각 요구량에 따라 항온항습기 팬의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입니다.
  • 외기 냉방 시스템 적극 도입: 외부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외기 냉방 시스템을 최대한 활용하고, 냉동기 가동 시간을 최소화합니다.
  • 최적화된 공기 흐름 관리: 서버 랙 내 빈 공간을 블랭킹 패널로 막고, 케이블 배선 관리를 통해 공기 흐름을 효율적으로 유도합니다.
  • 냉각수 온도 최적화: 냉각수 온도를 가능한 높게 설정하여 냉동기의 효율을 향상시킵니다.
  • 액체 냉각 방식 도입 검토: 고밀도 서버 환경에서는 액체 냉각 방식을 도입하여 냉각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

2. 전력 시스템 효율 향상:

  • 고효율 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시스템 구축: 에너지 손실이 적은 고효율 UPS를 선택하고, 부하율에 따른 효율 변화를 고려하여 적절한 용량의 UPS를 구성합니다.
  • 고효율 변압기 및 배전 시스템 구축: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고효율 변압기 및 배전 시스템을 설계합니다.
  • 직류 (DC) 전원 공급 방식 도입 검토: 서버에 직접 DC 전원을 공급하여 AC-DC 변환 과정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줄입니다.

3. IT 장비 효율 향상:

  • 고효율 서버 및 IT 장비 도입: 에너지 효율이 높은 최신 서버 및 IT 장비를 도입합니다.
  • 서버 가상화 및 통합: 물리적 서버의 수를 줄이고 자원 활용률을 높여 에너지 소비를 줄입니다.
  • 전력 관리 기능 활용: 서버 및 IT 장비의 전력 관리 기능을 활성화하여 유휴 상태에서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합니다.

4. 건물 설계 및 관리:

  • 건물 단열 성능 강화: 외부 열 침입을 최소화하여 냉각 부하를 줄입니다.
  • 지능형 건물 관리 시스템 (BMS) 도입: 데이터센터의 모든 설비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여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합니다.
  • 정기적인 에너지 감사 및 최적화: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사용 현황을 정기적으로 분석하고,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합니다.

이러한 설계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운영함으로써 PUE 값을 효과적으로 절감하고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