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술사/136회 기술문제 풀이

1-9. 건구온도 30℃, 절대습도 0.0140 kg/kgDA, 비체적 0.878 m3/kgDA인 습공기가 체적유량1900 m3/h으로 표면온도 5℃인 냉각코일을 통과하면서 냉각 및 제습되고 있다.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응축되는 물의 질량유량(kg/h)을 구하시오.

onha09 2025. 5. 19. 10:49
반응형

냉각 코일 통과 시 응축되는 물의 질량 유량 계산

주어진 조건을 바탕으로 냉각 코일을 통과하는 동안 응축되는 물의 질량 유량을 계산합니다.

 

주어진 조건:

  • 입구 건구 온도 (): 30°C
  • 입구 절대 습도 (): 0.0140 kg/kgDA
  • 입구 비체적 (): 0.878 m³/kgDA
  • 체적 유량 (): 1900 m³/h
  • 냉각 코일 표면 온도 (): 5°C
  • 5°C 포화 습공기의 절대 습도 (): 0.0054 kg/kgDA
  • 냉각 코일의 바이패스 계수 (BF): 0.14

계산 과정:

1. 건조 공기의 질량 유량 () 계산: 주어진 체적 유량과 입구 공기의 비체적을 이용하여 건조 공기의 질량 유량을 계산합니다.

2. 냉각 코일 출구 공기의 절대 습도 () 계산: 냉각 코일의 바이패스 계수를 이용하여 코일 출구 공기의 절대 습도를 계산합니다. 바이패스 계수는 코일을 통과하는 동안 냉각 및 제습되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는 공기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코일을 통과한 공기는 코일 표면 온도에서의 포화 상태라고 가정합니다.

3. 응축되는 물의 질량 유량 () 계산: 응축되는 물의 질량 유량은 건조 공기의 질량 유량과 입구 및 출구 공기의 절대 습도 차이를 곱하여 계산합니다.

4.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반올림: 계산된 응축수 질량 유량 16.0052 kg/h를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반올림하면 16.0 kg/h가 됩니다.

 

결론:

냉각 코일을 통과하면서 응축되는 물의 질량 유량은 16.0 kg/h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