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술사/136회 기술문제 풀이

2-4. 지구온난화 문제로 현재 냉매 취급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고압가스안전관리법」으로 정해진 1일의 냉동능력 산정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onha09 2025. 5. 19. 11:23
반응형

지구온난화 문제로 인해 냉매의 대기 배출을 규제하고 적절한 관리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해짐에 따라,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 설비에 대한 안전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을 통해 냉동 설비를 포함한 고압가스의 취급 전반에 대한 안전 기준을 규정하고 있으며, 여기서 냉동 설비의 규모를 판단하는 기준 중 하나로 '냉동능력'을 사용합니다.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3에서는 냉동능력 산정 기준을 명시하고 있으며, 원심식 압축식 냉동 설비 및 흡수식 냉동 설비를 제외한 대부분의 냉동 설비에 대한 1일의 냉동능력 산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일의 냉동능력 산정식:

위 산식에서 각 기호는 다음을 의미합니다.

  • : 해당 냉동 설비의 1일의 냉동능력 (단위: 톤)
  • : 냉동 설비에 사용된 압축기의 표준 회전 속도에 있어서의 1시간의 압출량 (단위: )
  • : 사용된 냉매가스의 종류별 기체 상수

산정식의 의미 및 적용:

이 산정식은 압축기의 크기(압출량 V)와 사용되는 냉매의 종류(냉매 상수 C)를 기반으로 해당 냉동 설비의 냉동 능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여기서 '1일의 냉동능력'은 해당 설비가 하루 동안 생산할 수 있는 냉동 효과를 나타내는 관리 기준량입니다.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에서는 이 냉동능력을 기준으로 냉동 설비의 설치, 관리, 검사 등의 의무 사항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정 규모(냉동능력 3톤 이상) 이상의 냉동 설비를 설치하거나 운영하려는 자는 해당 법에 따른 허가를 받거나 등록을 해야 하며, 정기적인 안전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지구온난화 유발 물질인 냉매의 대기 배출을 줄이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과 국내 법규 강화에 따라, 냉동 설비의 정확한 냉동능력 산정은 해당 설비의 안전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냉매 누설 방지 및 적법한 회수, 처리 등을 이행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됩니다. 따라서 냉매 취급자 및 관련 업계에서는 이 냉동능력 산정식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관련 법규를 준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반응형